월세 계약 만료 후에 나가는 이사에 월세 관련된 사항
이사갈 집 날짜 조정으로 인해 월세로 계약된 현재 집의 계약 기간 이후에 이사를 나가게 되었습니다.
이사 날짜가 계약만료일과 일주일정도 차이가 나는데 이 사이의 월세는 드리겠다고 했는데
집주인분께서 다음 세입자가 들어오기 전까지의 월세까지 내라고 한 상황입니다.
짐 빼기 전까지의 월세는 드리는게 맞다고 생각하는데 공실일때의 월세를 내야하는 경우가 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사용기간 중의 월세는 지불해야 합니다. 이는 임차인이 원해서 거주하든 원치 않는데 어쩔 수 없이 거주하던 상관 없이 거주기간동안 지불해야 하는 것입니다.
만기가 지나서 나가는데 그 일정이 협의 일주일로 됐다면 일주일치만 내면 됩니다.
하지만 집주인이 다음세입자 올때까지 내라고 하는것은 일주일이라는 기간 연장 협의가 안되것으로 보입니다.
그럼 어쩔 수 없이 만기때 나가겠다고 하세요.
아마 그냥 일주일 있다가 나가라고 할 듯 하네요.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차 계약이 종료된 후에도 집에 거주하는 경우, 그 기간 동안은 임대인에게 월세를 지급해야 합니다. 만약 계약이 일주일 더 연장되었다면, 그 일주일 동안의 월세는 당연히 임차인이 부담하는 것이 맞습니다.
이사를 나간 후의 공실 상태는 더 이상 임차인의 책임이 아닙니다. 이사 날짜 이후의 공실 기간 동안 발생하는 월세는 임차인이 부담할 의무가 없습니다. 집주인이 새로운 세입자를 구하지 못한 책임은 임차인이 아니라 임대인에게 있습니다.
임대인과 잘 협의를 해서 공실에 대한 부분까지 내라고 한다면 다른 방법을 찾아야 될 듯합니다. 공실에 대한 월세를 내느니 차라리 계약만료일날 이사간다고 하고 그냥 보증금 받고 잠깐 다른곳에 가있는 것이 더 나을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만기전이라면 날자에 맞춰 월세를 계산해줘야 되지만 만기후라면 사는날까지 드리는게 맞을거 같은데 임대인께 요구를 하나봅니다
처음에 어떤식으로 계약을 했느냐가 중요한데 어떤식으로 계약을 했는지 모르겠지만 임대인과 협의를 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