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선생님들은 두돌쯤되는 아기를 어떻게 보육해주시나요?
어린이집 선생님분들이 너무 대단해 보이세요
23개월 아기인데 낮잠자고 일어나면 꼭 30분정도 안겨있거든요? 잠투정인것 같아요
그런데 어린이집에서 낮잠자고 일어나는 아기가 울거나 징징될때 어떻게 달래시는지 궁금합니다ㅜ
안녕하세요. 송신애 유치원 교사입니다.
23개월 아이 같은 경우 교사 대 아동 비율이 낮은 편입니다.
즉 만1세는 교사대 아동 비율이 1:5입니다.
그래서 잠투정을 하거나 징징 거릴 경우 아이가 진정이 될 때까지 안아주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우선은 아이가 언어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것이 미숙하기 때문에 아이가 아픈것은 아닌지, 기저귀가 찜찜하고 더러워서 그런 것은 아닌지, 배가 고파서 그런 것은 아닌지, 불안해서 그런 것은 아닌지를 살펴봅니다.
그리고 아이의 불편함의 원인을 찾고 해소를 시켜주는데요.
하지만 별다른 특이사항이 없는데 아이가 운다면 아이를 안고 아이의 울음이 잦아 들때 까지 등을 토닥이며 달래어 줍니다.
아이가 우는데에 그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기 때문이지요.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
어린이집 선생님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낮잠 후에 일어나는 아기들을 달래고 있습니다.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는데 부드러운 목소리로 말하거나 노래를 불러주어 아기를 진정시킵니다. 그리고 아기를 가볍게 안아주거나 등을 토닥여 주는 등의 신체적 접촉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이는 원에 따라서 다를수있겠습니다
아이들이 모두 우는것이 아니다보니 스스로일어나거나 괜찮은 아이들은 케어를 적절하게 해주시고 그렇지 않은아이는 안아서 돌아가면서 다독일수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오수진 보육교사입니다.
어린이집에서는 낮잠자고 일어나서 힘들어하는 아이는 따로 개별적으로 안정을 취하도록 해줍니다. 어머님이 해주시는 것 처럼 안아서 토닥여주고 조금 진정이 된 후에 간식을 먹거나 다른 활동을 하도록 해주는데요. 아기가 낮잠을 푹 못 자고 일어나서 잠투정을 하는 것인지 원인을 살펴봐주시는 게 필요할 듯 합니다. 애착물품이 있다면 애착물품을 안고 기다려주시는 시간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도 단체 생활에 익숙해지면 아이들이 집에 있는 것 만큼 투정을 부리지는
않아요
아기가 잠에서 깨서 울면 안아서 달래지요
아이기 잠투정 으로 울 수도 있지만 다른 이유로 울 수도 있기 때문에
아이의 모든 부분을 확인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어린이집 선생님들의 경우에는 보육방법이 다양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보통 한선생님당 3명 정도의 아이를 붙어서 케어 해준다고 합니다. 그리고 두돌정도면 아이가 말귀를 잘 알아 듣기 때문에 위험한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환경을 조성해두고 돌아가면서 아이들끼리 의존도 하면서 케어를 합니다. 따라서 밥을 먹이는것도 한명씩 돌아가면서 하기 때문에 인내심을 배우기도 한다고 하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