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건강관리

식습관·식이요법

뽀로로
뽀로로

정제염과 천일염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과도한 나트륨 섭취가 좋지 않다고 해서 이것저것 알아보고 있는데 정제염은 안좋다는 글을 본 기억이 있습니다. 정제염과 천일염의 차이는 무엇인지 정제염의 어떤 점이 몸에 안좋은 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형봉 영양전문가입니다.

      정제염은 바닷물을 이온교환막(여과포)을 통과시켜 불순물과 중금속 등을 제거하고 얻어낸 순도 높은 소금입니다.


      ​바닷물을 약 10Å의 미세한 구멍을 가진 이온수지막(이온교환막)에 통과시키면 나트륨 이온(Na+)과 염소 이온(Cl-)은 투과되고 마그네슘, 칼슘과 같은 2가의 이온류와 납, 아연, 비소 같은 중금속들은 막을 통과하지 못합니다.


      이렇게 얻어 낸 순도 높은 염화나트륨의 결정체가 정제염이지요.


      불순물을 제거했기 때문에 위생적이지만 미네랄 성분도 함께 제거됩니다.


      천일염은 바닷물을 염전으로 끌어와 바람과 햇빛으로 수분과 함께 유해 성분을 증발시켜 만든 가공되지 않은 소금으로 굵고 반투명한 육각형의 결정입니다.


      천일염에는 칼슘, 마그네슘, 아연, 칼륨, 철 등의 무기질과 수분이 많기 때문에 채소나 생선의 절임에 좋아 김치를 담그거나 간장, 된장 등을 만들 때 주로 쓰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제염과 천일염은 둘 다 식용소금이지만, 그 특징은 다릅니다.


      정제염은 증류와 결정 등의 공정을 통해 다량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만들어진 소금입니다. 이 과정에서 불순물뿐만 아니라 식물성 유기산도 제거되어 맛이 담백하고 깨끗합니다. 또한, 정제과정에서 첨가되는 화학물질로 인해 일반적으로 천일염보다 백색이며, 국내에서는 대부분 이러한 정제염을 사용합니다.


      반면 천일염은 해수에서 자연 증발 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소금으로, 나트륨 농도가 80%정도 되고 미네랄 함량이 높아서 나트륨을 섭취해도 몸밖으로 빠르게 배출될수 있도록 돕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오래 발효하는것이 좋은 장아찌류나 김치를 담글때는 보통 천일염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천일염에 있는 미네랄 성분이 음식을 무르지

      않게 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