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궁금한건데 옛날에는 족보를중요시여겼는데 요즘은 그렇지않은거같은데 왜그런걸까요?
평소에 궁금한건데 옛날에는 족보를 중요시여겼는데 요즘은 그렇지않은거 같은데 왜그런걸까요? 혹시아시는분계시면 답변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이나 고려 시대에는 신분제 사회 였습니다. 그래서 족보 라는 것이 더욱 더 중요하였지만 현대는 신분제 사회 라기 보다는 돈에 의한 재력에 의한 새로운 신분 사회가 형성 되었습니다. 그래서 현대 사회는 족보가 중한것이 아니라 돈이라는 새로운 신분 질서를 만들게 된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은 성리학을 중요시 여겼습니다. 성리학은
뿌리를 중요하게 여겼고 그래서 족보를 따지고
가문을 따졌습니다. 지금도 아직 남아 있으나
예전보다는 희석되었으며 점차 성리학적인
사고에서 사람들이 벗어나 실용적인 사고를
추구하기 때문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는 가문배경이 사회생활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고, 이는 양반의 자격을 결정하는 기준이 되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교양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집안뿐만 아니라 다른 집안의 족보에 대해서도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를 '보학에 밝다’고 표현했습니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보학은 당시 사회문화적인 환경 속에서 크게 발달했습니다. 툭히 조선 후기 사족들이 성리학적 지배 질서를 강화하는 과정에서 가문을 내세우는 족보가 중요한 수단이었습니다.
그러나 오늘날 산업화 시대를 맞아 가문과 가족의 혈연적 유대감이 약화되고, 능력을 중시하는 사회에서 족보의 위상은 큰 의미가 없어졌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