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따뜻한원앙279
따뜻한원앙279

문서를 작성하면서 띄어쓰기가 가장 어렵다고 생각하는데 어떤 경우에 띄어쓰기를 해야하나요?

문서를 작성할 때면 맞춤법을 틀리는 경우도 많지만 띄어쓰기를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 헷갈릴 때가 생각보다

빈번한 데 띄어쓰기는 어떤 경우에만 사용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띄어쓰기를 하는 이유는 모든 단어의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입니다.

    1. 각 단어의 의미가 독립적인 단어들은 모두 띄어 씁니다.

    (예) (오토바이) (정비소)

    1. 조사는 앞말에 붙여서 씁니다.

    (예) 우리(는) 밥(을) 먹습니다

    1. 의존 명사는 독립적이지는 않으나 띄어 씁니다.

    (예) 오늘 우리는 여행을 떠날 (것) 같다

    1. 보조용언은 원칙적으로는 띄어 쓰되 2 음절 이하인 경우에는 붙여서 쓰는 것도 허용됩니다.

    (예) 참아 왔다 / 참아왔다

    1. 전문 용어 및 고유 명사는 원칙적으로 띄어 쓰되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됩니다.

    (예) 손해 배상 청구 / 손해배상청구

    1. 수의 경우 아라비아 숫자와 글자는 띄어 쓰기가 원칙이나 달의 명칭은 붙여 씁니다. 차례를 나타내는 경우 붙여 쓸 수 있습니다.

    (예) 1 학년 2 반 / 일월, 2월 / 두번째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

    띄어쓰기는 문장의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지켜야 할 중요한 규칙입니다. 띄어쓰기의 대표적인 원칙을 살펴보겠습니다.

    ※ 띄어쓰기 기본 원칙

    •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합니다. 이는 한글 맞춤법의 대원칙 중 하나입니다. 즉, 서로 다른 단어는 띄어서 써야 한다는 의미가 되겠습니다.

    • 단, 합성어(두 단어가 합쳐져 하나의 뜻을 가지는 단어 - 집안, 이날 등)는 붙여 씁니다. 합성어인지의 여부는 표준국어대사전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 반드시 띄어 써야 하는 경우

    • 조사는 앞말에 붙여씁니다. (집에, 학교에서 등)

    • 의존 명사(것, 줄, 수, 데 등)는 앞말과 띄어 씁니다. (할 수 있다, 볼 만 하다 등)

    •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수 관형사와 띄어 씁니다. (차 한 대, 연필 두 자루 등)

    • 수 관형사 + 단위(20,000,000원)는 붙여 쓰지만, '2,000만 원'처럼 한글 단위가 붙으면 띄어 씁니다.

    •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이나 관직명 등은 띄어 씁니다. (김영희 선생, 이순신 장군 등)

    • 성명 이외의 고유명사는 단어별로 띄어 씁니다. (광명 대학교 사범 대학 등)

    ※ 붙여 써야 하는 주요 사례

    • 조사와 접사는 앞말에 붙여 씁니다. (꽃이, 꽃과, 빨갛게 등)

    • 보조 용언이 본용언과 결합할 때는 띄어 쓰거나 붙여 쓸 수 있는 경우도 있으니, 하용 규정을 참고해야 합니다.

    ※ 헷갈리는 경우

    • 표준국어대사전을 활용합니다.

    • 출판 등에서는 가독성이나 편집상의 이유로 허용규정이 적용되기는 하지만, 원칙은 위 내용대로 적어야 합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띄어쓰기의 경우 매우 많은 사례가 있기 때문에 다 설명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기본적인 규정들만 말씀드리면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과 조사는 붙여쓰며(나+는, 책+을) 동사나 형용사와 같은 용언의 어간과 어미도 붙여 씁니다.(하+고, 예쁘+고) 반면 관형사와 명사, 부사와 용언은 띄어 써야 합니다.(큰 집, 아주 예쁘다.) 조사는 (은, 는, 이, 가 등) 무조건 앞말에 붙이지만 의존명사(것, 뿐, 이, 데, 바)는 앞말과 띄어 써야 합니다.(한 번 뿐이다.) 다만 '눈물나다', '돌아보다'처럼 자주 쓰여 굳어진 말은 합성어로 인정되어 붙여 쓰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우리말은 같은 동양어이지만 중국어 및 일본어와는 달리 뛰어쓰기가 존재합니다.

    • 이것은 현재 한자를 쓰고있지 않으므로 인하여 뛰어쓰기를 하지 않을 시 독해에 있어 상당한 난점을 불러오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 기본적으로 하나의 의미성 구성체를 가지는 단어+조사(어미)의 뭉침단위로 뛰어쓰기를 하여야하며 여러가지 문법적 규칙이 많이 있으나 이것을 일일이 외어서 띄어쓰기를 하지는 않습니다.

    • 즉 습관적인 일고 씀이 반복되는 것이 중요한데 읽을때는 어떤 모범이 되는 고전이나 성경 등을 반복적으로 읽는 방법, 쓰는 면에 있어서는 일기를 계속 쓰는 것을 강력히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띄어쓰기의 정의 자체는 매우 쉽습니다. 단어 하나가 끝날 때 마다 한 번 씩 띄는 거죠.

    문제는, 이 '단어 하나'가 어디까지 인지가 매우 복잡하다는 것입니다.

    일단 부사는 띄어쓰지만 조사는 붙여써야 하고

    며칠은 한단어지만 몇 달 은 띄어써야 하고 등등

    이런 문법적인 것은 보통

    관습적인 내용을 후대에 규칙을 찾아가며 정리하는 것이기 때문에

    예외, 불규칙이 매우 많아서 전세계 어디서나 그냥 외우는게 정석입니다

    영어도 feet-foot 같은 불규칙 복수형이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