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한알쌍7214
한알쌍7214

영국의 브렉시트 후 경제상황이 좋지 않은 이유가 먼가요?

세계뉴스를 나와보니깐

영국에서 기름이 공급되지 않은 상황에 문제가 생기고, 택배도 원활되지 않고,

물가도 조금 올라가다고 하네요.

유럽과 영국간의 원활되지 않은 이유가 먼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브렉시트 전, 많은 글로벌 기업들은 영국에 유럽 지사를 세웠습니다. 영국은 EU 회원국인 동시에 경제 강국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브렉시트 후, 많은 기업들이 EU 회원국인 프랑스나 독일으로 떠나게 됩니다.EU 회원국끼리 공유되던 무역 혜택이 사라지면서, 영국의 무역 경쟁력이 급감합니다. 영국은 브렉시트 이후 오히려 노동력 부족을 겪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는 양쪽의 서명과 비준을 거쳐 2020년 2월1일 정식 발효됐습니다.

      이후 영국은 2021년 1월에 유럽연합과 관세 동맹을 맺고 유럽 단일 시장의 회원국 지위는 유지했지만, 새로운 관세와 다소 부담스러운 관료주의가 영국과 유럽연합 사이의 교역에 큰 장애로 작용했습니다.

      브렉시트 이후 신선도가 중요한 식품유통이 국경을 넘을때마다 통관이 지연되면서 총체적 난국에 직면했으며, 런던에서 유럽연합(EU) 내 다른 지역으로 직원이나 자산, 업무를 일부라도 재배치한 금융사가 440곳을 넘었다고 합니다.

      런던에서 다른 EU의 금융 허브로 이전된 자산도 1조4천억달러에 달했으며, 런던을 빠져나가 EU의 다른 금융허브로 이전한 일자리도 7,400여개에 이른 것으로 조사되고 있습니다.

      여러 측면에서 영국 경제에 악영향을 주면서, 영국 내에서는 브렉시트 회의론도 급부상하고 있다고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영국이 브렉시트를 탈퇴한 이후

      유럽국가들에 대한 수출이 줄어들며 이와 더불어서

      수입물품에 대한 단가가 높아져 경제가 좋지 못한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영국은 브렉시트로 인해서 EU연합에서 탈퇴한 이후에 다음과 같은 어려움을 겪으면서 경제적인 부담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 고임금 노동시장
        과거 EU에 있었을 당시 영국으로 저임금 노동인력이 유입되었으나 현재는 영국 국민들로만 이루어져 고임금 종사만 남은 상태

      • 국제교섭력의 하락
        영국은 EU에 있었을 때 EU와 함께 목소리를 내면서 미국이나 다른 국가들과의 교섭을 유리하게 이끌었으나 지금은 인구수도 고작 6천만명에 산업이라고는 금융산업이 발단한 상태이다 보니 영국과의 교역을 통해서 다른 국가들이 크게 이익을 얻을 게 없습니다.

      • EU의 견제와 비용 촉구
        EU를 탈퇴하면서 EU에게 내야하는 벌금을 아직 다 내지 못한 상태

      • 금융산업의 몰락
        금융허브로 통했던 영국이 현재는 많은 기업들이 이탈하면서 금융허브의 지위를 상실했습니다.

      그동안 영국에서 활동했던 기업들이나 노동시장의 유연성등은 모두 'EU'라는 그룹에 있을 때에 효과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이나 EU를 탈퇴함으로써 영국은 철저하게 EU연합의 밖에 있는 '외집단'이 된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영국은 과거 위대한 영국을 꿈꾸고 있습니다. 하여 eu에서 탈퇴하고 독자적인 성장을 통한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했죠.

      다만 현제 많은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물가가 급격히 상승하고 eu회원국들끼리 혜택을 주고받던 조항들이 사라졌으니 무역 관계 등에서 큰 타격을 입을 수 밖에 없지요.

      그렇다고 다시 들어가기에는 눈치가 많이 보일 겁니다.

      살은 내어주고 다시 들어가야 하는 최악의 상황도 발생할 수 있고요.

      그러니 문제가 이만저만 큰게 아닐 수 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