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U라는 것은 무엇인지 자세히 알고 싶어요?
방송을 보다가 UPS라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이게 각 나라별로 경제 순위의 차이에 따라서
배송비의 차등이 있다는 얘기를 본 거 같은데요.
각 나라별로 배송하는 것은 그 나라 내부 사정에 따라 다를텐데
어떻게 해서 배송비 차이가 있는지
UPU에 대해서 잘못이해하고 있는 것이라면 초보자가 알기 쉽게 전문가를 통해서
내용을 잘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
UPU는 만국우편연합(Universal Postal Union)의 약자로, 우편물에 대한 유엔 산하 국제기구입니다. 1874년 10월 9일 스위스 베른에서 설립되었으며, 본부는 현재도 스위스 베른에 있습니다. UPU는 전 세계 우편 서비스의 통합 및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국제기구입니다. UPU의 활동을 통해 전 세계 사람들은 저렴하고 효율적인 우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UPU는 만국우편연합(Universal Postal Union)의 약자로, 전 세계 우편 서비스를 조율하는 국제기구로서 UPU는 모든 나라의 우편 요금을 동일하게 책정하지 않습니다. 각 나라는 자국의 경제 수준, 운영 비용 등을 고려하여 우편 요금을 설정합니다. 또한 UPU는 국제 우편 발송에 대한 기본적인 규칙과 요금을 정립하고, 각 나라의 우편 서비스 간 상호 운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나라마다 배송비를 다르게 책정하는 것은 국제 배송비는 여러 요소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복잡할 수 있습니다. UPS 외에도 다양한 국제 배송 회사가 있으며, 각 회사마다 배송비 정책이 다릅니다. 그러므로 국제 배송 시에는 소포의 무게, 크기, 배송 옵션, 관세 및 세금 등을 고려하여 배송비를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만국 우편연합(UPU: Universal Postal Union)은 국가 간 우편 교류 증진을 위해 만들어진 국제기구로, 역사가 145년이나 되며 회원국이 182개국으로 세계적으로 공인된 EMS 서비스 평가에서 최고의 인증을 받는 등 최고 권위의 국제기구입니다.
UPU는 우편시스템의 단일화, 요금표준화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회원국들의 국제우편을 비롯해 2kg 이하 소포에 대해 요금을 책정하고 우편서비스 관련 요금과 수수료를 정하고 있습니다.
UPS 의 경우 운임에 대하여 각 경우별로 추가요금이 부과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UPS 홈페이지 를참고하여 주시기바랍니다
[ 외곽지역서비스 추가요금]
인구가 적거나 접근이 어려운 국내 및 해외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운영 비용이 높아집니다. 외곽 지역 서비스 추가 요금 및 원거리 지역 서비스 추가 요금은 해당 지역 서비스 제공 비용을 더 정확하게 반영하기 위해 부과됩니다.
[유류할증료]
UPS는 주 단위로 조정되는 인덱스 기반의 유류 할증료를 사용합니다. 변동된 유류 할증료는 매주 월요일마다 적용됩니다. 유류 할증료는 조정 2주전 미국 정보부 산하 정보 관리국(Energy Informaion Administration, EIA)에서 발표한 멕시코만[U.S. Gulf COAST(USGC)] 등유형 제트유(Jet Fuel) 가격에 근거합니다(센트 단위로 반올림). 예) 2017년 2월 6일 주의 유류 할증료는 2017년 1월 23일 주의 USGC 제트유(jet fuel) 가격을 기준으로 합니다.
[수요증가추가요금]
물량이 급증하는 시기에는 UPS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일시적으로 수요증가 추가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간단하게 UPS란 특송업체를 뜻합니다. 이러한 특송업체들은 선박을 통하여 운송을 하기도하지만 대부분 항공을 통하여 전세계적으로 물품을 빠르게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렇기에 전세계적으로 수요가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운송을 공급하는 것이 주요 사업모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UPS가 만약에 전세계적으로 일률적으로 운임을 책정하는 경우에는 개발도상국의 수요가 많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의 10불은 운임으로 지불하기에 저렴한 금액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동남아시아에는 크게 부담스러운 금액입니다. 그렇기에 전세계적인 수요를 맞추기 위하여는 개발도상국에는 낮은 운임, 선진국에는 높은 운임을 책정하는 방식으로 운임을 국가에 경제사정에 맞게 운영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영업이익의 극대화를 노릴 수 있기에 이러한 정책을 활용하는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만국우편연합(Universal Postal Union, UPU)은 우편물에 대한 유엔 산하의 국제 기구를 말합니다.
보통 최근 UPU에 대한 부분은 알리익스프레스 등 중국에서의 우편화물과 연관지어 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알리익스프레스의 배송방식은 만국우편연합(Univesal Postal Union) 협약을 이용(과 악용 그 사이)하는 체계로 UPU는 4그룹으로 나눠 상대국 취급비 차등 보전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2그룹, 중국은 3그룹으로서 한국의 서비스품질기금(Quality of Service Fund, QSF) 재정부담율이 중국보다 큽니다.
우리나라 우정사업본부는 본 사안과 관련하여 과거 미국의 경우 1그룹에 포함되어있어 수수료 차이가 많이 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과 취급비의 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물론 이에 따라 손해가 어느정도 발생은 하지만 어쨌든 제품가격에 운송비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 취급비의 차이가 크지않다 정도로 이해됩니다.
과거 보도자료의 일부를 소개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당장은 미국과 같은 비용 불균형 문제는 없다는 게 우정사업본부의 진단이다. 1-3그룹과 달리 2-3그룹간 배달국 취급비 정산요율은 큰 차이가 없기 때문. 우정사업본부 관계자는 “나라별 정산요율은 밝힐 수 없지만, 중국과 한국의 경우 정산요율은 거의 동일하다고 보면 된다”며 “또 취급비 자체가 국내에서 국내로 발송하는 우편비용보다 높기 때문에 해외 유입 우편물량이 많다는 건 우체국 입장에선 이득”이라고 귀띔했다. 중국에서 우리나라 혹은 미국으로 발송할 때 드는 운송 총비용 역시 차이가 크다. 미국에 비해 도착지 배송거리가 짧고 집중 배달 지역이 많아 도착비 배달비용을 따질 경우 미국과는 비교 대상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8102218043328099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UPU는 회원국을 1그룹(선진국), 2그룹(준선진국), 3그룹(개도국), 4그룹(저소득국)으로 나눠 배달국 취급비를 차등 적용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잘사는 나라가 취급비를 더 부담하게 되며 이 규정은 국제 물류를 활성화하자는 취지에서 만들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