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방약무인의 유래는 무엇인지 알고싶습니다.

방약무인는 아무 거리낌 없이 당당한 태도를 말하는데요

그 유래가 어떻게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또 예시에는 무엇이 있을지 같이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주위 사람을 의식하지 않고 제멋대로 행동하는 것을 말하며 이 말은 중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자객 가운데 하나인 형가라는 이의 행동에서 비롯되었다고합니다.전국시대 말기, 중국이 진나라를 중심으로 통일되려고 할 무렵 연나라 태자 단은 진왕 정에게 원한을 품고 있었습니다. 어린 시절에는 함께 조나라에 인질로 잡혀 있었던 두 사람이었지만, 후에 강대국이 된 진왕 정이 단을 인질로 잡는 등 수모를 주었기 때문이었지요. 단은 그때부터 정을 처치하기 위해 온갖 노력을 기울였는데, 그런 와중에 만나게 된 것이 바로 형가였습니다. 형가는 당시 축이란 악기를 잘 다루는 친구 고점리와 날마다 악기를 연주하고 술을 마시며 세월을 보내고 있었습니다. 그들이 놀 때는 곁에 누구도 없는 것처럼 행동했다고 합니다. 방약무인은 이로부터 유래한 말입니다.

    •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방약무인은 《사기(史記)》〈자객열전(刺客列傳)〉에서 유래한 고사성어로 중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자객의 한사람인 형가(荊軻)의 행동에서 비롯된 말이다. 위(衛)나라 사람인 형가(荊軻)는 문학과 무예에 능한 애주가였다. 연나라에서 사귄, 비파(琵琶)의 명수인 고점리(高漸離)와 만나 술을 마시다 취기가 돌면, 고점리는 비파를 켜고, 형가는 이에 맞추어 춤을 추며 고성방가하였다. 그러다가 떠도는 신세를 한탄하며 감정에 복받쳐 둘이 얼싸안고 울기도 웃기도 하였다. 이때 이 모습은 마치 곁에 아무도 없는 것처럼 보였다고 한다.

      이후 진(秦)나라의 정왕 정(政: 훗날 시황제)에게 원한을 품고 있던 연나라의 태자 단(丹)이 형가의 재주를 높이 평가하여 그에게 진시황의 암살을 부탁하였다. 형가는 살신성인한 번어기 장수의 목과 연나라 지도를 가지고 진시황에게 접근하여 암살을 시도하였지만, 진시황의 관복만 뚫었을 뿐 암살은 실패로 돌아가고 그는 결국 죽임을 당했다.

      예문) 군대 생활이나 직장생활에서 지위를 악용하여 ‘방약무인(傍若無人)’하게 행동하는 상사가 있다면 그 조직은 활력을 잃고 불만만 쌓여가다가 결국은 큰 문제가 생기게 된다. 학교생활 역시 마찬가지다. 천방지축인 몇몇 아이들 때문에 수업 분위기가 엉망이 되고 교우관계가 나빠지게 된다. 특히 친구 사이에도 자기주장만 내세우고 제멋대로 하려는 ‘싸가지 없는’ 사람이 있다면 결국엔 관계가 파탄 난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곁에 사람이 없는 것처럼 행동하는 것으로 주위 사람을 의식하지 않고 제멋대로 행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말은 중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자객 형가라는 이의 행동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전국 시대 말 중국은 진나라에 의해 통일되려고 할 무렵 연나라 태자 단은 진왕 정(후에 진시황)에게 원한을 품고 있었습니다. 어린 시절 함께 조나라에 인질로 잡혀 있었는데 후에 강대국인 진의 정이 단을 인질로 삼는 등 수모를 주었기 때문입니다. 그런 와중에 만나게 된 사람이 형가였습니다. 형가는 당시 축이라는 악기를 잘 다루는 친구 고점리와 날마다 악기를 연주하고 술을 마시며 세월을 보내고 있습니다. 그들이 놀 때는 곁에 누구도 없는 것처럼 행동했다고 합니다. 방약무인은 이로부터 유래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방약무인은 중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자객 가운데 하나인 형가라는 이의 행동에서 비롯되었습니다.위 이야기는 사마천의 사기 중 자객열전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