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빠른정보
빠른정보

새는 고압전선에도 서서 있을수 있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새는 고압전선에도 서서 있을수 있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새발이 절연 효과가 있는것인지 어떻게 멀쩡하게 서있을수가 있는지 알려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새의 두 다리가 하나의 전선에 있는경우 전선은 거의 전위차이가 똑같기때문에 새 다리로 전류가 들어가지는 않습니다. 또한 새의 다리가 전선보다 저항이 높기때문에 이러한 현상은 더 잘 일어날수가 없죠.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새는 한가닥의 전선만 밟기때문에 몸 전체가 같은 전위가 되어서 전류가 흐를경로가 없어서 감전되지는 않습니다.

    즉, 절연때문이 아니라, 접촉해있는 두다리의 두 지점간 전위차이가 없어서 전류가 새의 몸을 통과하지 않는것입니다.

    1명 평가
  • 새가 고압선에 앉아도 감전되지 않는 핵심 원리는 두 발 사이의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아 전류가 몸을 통과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전기는 물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듯 전압의 차이가 있어야 흐르는데 새가 한 가닥의 전선 위에만 있으면 두 발의 전압이 동일하여 전기가 굳이 저항이 있는 새의 몸을 통과하지 않고 전선을 따라 흐르게 됩니다. 이는 새의 발이 절연체라서가 아니라 회로가 형성되지 않는 물리적 조건 때문이며 만약 새가 날개를 펴서 서로 다른 전압의 전선 두 개를 동시에 건드리거나 전선과 전봇대를 동시에 접촉하면 전위차가 생겨 즉시 감전됩니다.

    1명 평가
  • 결론부터 말씀드드리면 새의 두 발 사이의 전위차, 즉 전압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고압전선의 전류는 물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듯, 반드시 전위가 다른 두 지점 사이에만 흐릅니다.

    그런데, 전선은 전기가 아주 잘 통하는 도체인 반면 새의 두 발이 닿은 전선상의 짧은 구간은 전위가 거의 같습니다. 이로 인해 새의 몸을 통해 전류를 흐르게 할 전위차(전압)가 생기지 않고, 전위차가 없으므로, 아무리 전선의 전압이 높아도 전류는 새의 몸을 우회해 전선을 따라 계속 흐르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새가 전혀 감전이 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전위차를 만들면 감전이 되는데, 만약 새가 한 발은 전선에, 다른 발은 땅이나 다른 전선에 닿아 전위차가 생기면 즉시 감전되게 되죠.

    결론적으로 새 발의 절연 효과보다는 전위차가 거의 없기 때문에 감전되지 않는 것입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