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성숙한꿩234
성숙한꿩234

엔저현상은 왜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일본의 엔화의 가치가 계속 낮아지고 있는데요. 작년에도 엔화가 싸서 일본 여행 다녀오고 했는데 올해는 더 낮아지고 있네요. 이런 현상은 일본 정부가 고의적으로 만들고 있늗건지 아니면 미국의 정책에 따른 결과물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현재 엔저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이유는 일본의 인플레이션율은 낮은 상황에서 금리인상의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에 반해 다른 국가들의 경우는 인플레이션율이 재상승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금리인하의 가능성이 낮아지고 오히려 금리 재인상의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면서 금리격차 심화에 대한 불안감으로 엔화의 약세가 유지되고 있어요

  • 일본과 같은 경우 정부에서 의도적인 엔화약세를 유도하는 경향도 있으며 더불어서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가 엄청나게 벌어지는 등 이에 따른 엔화가 약세를 보이는 것입니다.

  • 일본이 이전부터 유지해온 마이너스 금리의 효과에다, 현재의 낮은 금리, 거기다 더해 미국의 높은 금리까지 더해져 발생한 일입니다.

    우선 금리가 낮으면 예금이자가 낮아지고 대출이자 역시 낮아지며 사람들은 예금을 하기보단 대출을 하려 할것입니다.

    그러면 시장에 많은 돈이 풀리겠죠.

    일본이 그러한 상황입니다.

    반대로 금리가 높으면 예금이자가 높아지고 대출이자 역시 높아지며 사람들은 대출을 하기보단 예금을 하려 할것입니다.

    그러면 시장엔 돈이 마를 것입니다.

    미국이 그러한 상황입니다.

    일본의 엔화는 흔해빠졌고, 미국의 달러는 더 귀해진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엔화 가격이 낮아지는 것입니다.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이상으로 답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본인이 경험 또는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직접 작성한 정보글로, 일부 착오나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엔저현상의 경우 기본적으로 일본 중앙은행의 제로금리 정책에 따라 엔화의 가치가 하락하는 것이 주 이유입니다. 코로나 19이후 극격한 인플레이션으로 미국과 한국을 비롯해 주요 국가의 경우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한 반면 일본은 여전히 낮은 인플레이션 수치와 경제활성화의 목적으로 제로금리 정책을 유지하면서 엔화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있습니다. 또한 일본의 무역수지 적자와 정체된 나라경제 규모도 엔화의 가치를 하락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엔저현상은 일본의 통화완화정책입니다. 내수시장의 활성화와 물가 안정을 잡으려는 일본 정부의 의지로 현재 엔저현상을 유지하고 있는 것입니다.

  • 일본정부도 이정도로 낮아지는 것을 원하지는 않고, 미국도 크게 원하지는 않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일본 엔저가 큰 문제라고 지적하고있습니다.

    엔저현상이 일어난 원인은 길게보면 일본의 장기침체에 따른 저물가와 저금리 영향이 큽니다.

    그리고 단기적으로 보면, 지속적으로 저금리인 일본과, 전세계적으로 고금리가 된 최근 상황이 원인입니다.

    일본은 저금리, 해외는 고금리라면, 해외로 자본이 유출되고, 이로인해 일본의 화폐가치가 낮아지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