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궁금돌이
궁금돌이

겨우 살이는 다른 나무에 기생하면서 살아가는데요. 만약 기생나무가 붙어 있던 나무가 죽어버리면 기생나무는 어떻게 되나요?

겨우살이는 다른 나무에 뿌리를 내리고 그 나무에서 물과 영양분을 얻으며 살아간다고 하는데요. 그러면 겨우살이는 전혀 영양분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기생나무는 숙주나무에 의존하여 생존하므로, 숙주나무가 죽게 되면 기생나무도 영양을 공급받지 못해 생존이 어려워집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겨우살이도 엽록체를 가지고 있어서 어느정도의 양분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만으로 생존하기에는 부족하여 다른 나무에 기생하여 살아갑니다.

    그래서 겨우살이는 반기생식물이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겨우살이의 생존에는 살아있는 숙주나무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겨우살이는 새를 통해 씨앗을 여러 나무로 퍼뜨리는 방식으로 번식합니다.

  • 겨우살이가 기생하던 나무가 죽으면 대부분의 경우 겨우살이도 함께 죽게 됩니다.

    겨우살이는 반기생식물이라 스스로 약간의 광합성을 할 수 있지만, 필요한 영양분의 대부분을 기주 나무로부터 흡수합니다. 그래서 기주 나무가 죽으면 겨우살이가 스스로 충분한 영양분을 얻을 수 없어 영양 결핍으로 죽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겨우살이가 살아남기도 합니다.

    겨우살이는 덩굴처럼 뻗어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주변에 다른 적합한 기주 나무가 있다면, 겨우살이는 죽은 나무에서 떨어져 나와 새로운 기주 나무에 옮겨 붙어 살아갈 수 있습니다.

    또 앞서 말씀드렸듯 겨우살이는 가을과 겨울 동안 광합성을 통해 영양분을 저장합니다. 만약 죽은 나무로부터 충분한 영양분을 저장했다면, 겨우살이는 일시적으로 어려운 환경을 견뎌내고 새로운 기주 나무를 찾거나 스스로 광합성을 통해 생존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겨우살이가 기생하던 나무가 죽으면 대부분 죽는 쪽이지만, 주변 환경과 겨우살이 종류에 따라 살아남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겨우살이'는 쌍떡잎식물 단향목 겨우살이과의 상록 기생관목인데요, 주로 참나무, 물오리나무, 밤나무, 팽나무 등에 기생합니다. 겨우살이는 나무에 기생하여 살아가는 습성에서 이름이 붙여진 반기생 식물인데, 즉 다른 나무에 기생해서 살아가지만 스스로 광합성을 할 수도 있기 때문에 반기생 생물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또한 자신의 광합성으로는 부족해서 숙주에게서 물이나 양분의 일부를 빼앗아 이용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생나무는 다른 나무에 기생하여 살아가는 식물입니다. 기생나무는 뿌리를 내리지 않고 다른 나무의 뿌리를 이용하여 물과 영양분을 얻습니다. 따라서 기생나무는 전혀 영양분을 만들어내지 못합니다.

    만약 기생나무가 붙어 있던 나무가 죽어버린다면 기생나무는 더 이상 물과 영양분을 얻을 수 없게 됩니다. 이 경우 기생나무는 살아남기 위해 다른 나무를 찾아서 기생하게 됩니다. 그렇게 다른 나무에 기생하면서 살아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생나무가 죽은 나무에 계속 기생하게 된다면 결국 기생나무도 살아남지 못하고 죽게 됩니다. 따라서 기생나무는 살아남기 위해서는 계속해서 다른 나무를 찾아서 기생해야 합니다.

    기생나무는 다른 나무에 기생하면서 살아가지만 영양분을 만들어내지는 못합니다. 따라서 기생나무는 다른 나무에 의존하여 살아가는 식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알고 있는 바로는 기생나무는 다른 나무에 기생하면서 살아가지만 자신만의 영양분을 만들어내지는 못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기생나무의 생존 전략은 매우 독특하고 흥미로운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겨우살이는 반기생식물로, 숙주 나무에 의존하면서도 독립적인 생존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겨우살이는 광합성을 통해 스스로 영양분을 만들 수 있는 녹색 잎을 가지고 있어, 숙주 나무로부터는 주로 물과 무기물을 흡수합니다. 따라서 숙주 나무가 죽더라도 겨우살이는 일정 기간 생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새로운 숙주를 찾아 이동해야 합니다. 이때 새들이 겨우살이의 씨앗을 다른 나무로 옮기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겨우살이는 완전한 기생식물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독립적인 생존이 가능한 특별한 생태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숙주 나무의 상태 변화에 어느 정도 적응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