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집이 너무 세서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어요.
만2세 남자아이인데 본인이 하고 싶은게 있으면 끝까지 해야하고 예를들어 블록 놀이 시 부모나 선생님이나 친구가 정리를 할 경우 울음으로 표현하고 자신이 다시 만들어서 정리를 꼭 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다른 친구들이 하고 있던것을 같이 하지 않고 있다가 다 끝나고 나면 그때 한다고 해줄때까지 계속 이야기하며 고집을 부린답니다. 자신이 원하는게 있으면 해줄때까지 울면서 반복해서 이야기하는데 이럴때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먼가 불만을 가지고있거나 불안감이 있는듯 보입니다 아이 감정을 인정해주시고 공감해주시는 태도를 보여주세요
만2세 아이가 고집이 세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만3세 이전의 아이는 양육자의 말을 잘 이해하지 못해서 훈육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고 합니다.
이 시기에는 아이의 마음을 양육자가 대신 말로 표현해주는 형식으로 훈육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가 떼를 쓸 때는 어떻게 대처할지 난감하기만 합니다.
또한 그런 상황에서는 어떤 말을 해도 통하지 않습니다.
어느정도의 원칙을 세워서 일관성 있게 훈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떼를 쓰고 우는 행동에 반응을 해주다보면 그 행동이 강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의 감정을 공감하고 관찰한 상황을 말해줍니다.
그런 다음 상대방의 감정을 이야기해줍니다.
마지막으로 '다음부터는 원하는게 있을 때는 울거나 고집을 피우지 말고, 직접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이시기는 아이의 자아가 발달하면서 고집이 강해지는시기입니다
이때는 규칙을 정하여 지키게하는것이 좋으며 지켜야하는것은 아이에게 말해주고 아이가 울고떼쓰더라도 훈육해주시는것이 필요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 고집이 세다면 아이와 대화를 통해서 무엇이 문제이고 고집을 부리는건지 확인하세요 그리고 아이와같이 해결책을 찾아가는게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지금 나이를 고려하면 아이가 고집을 부리는 것 자체는 자연스러운 행동일 수 있어요. 그러한 고집을 조금씩 자제하는 걸 배우면서, 자율성과 통제력을 배워나가게 됩니다. 아이의 감정을 공감해주면서도 규칙과 순서를 알려주면서 일관된 대응을 해주세요. 다시 쌓게 해주거나, 예외를 만드는 경험은 고집을 더 심하게 할 수 있어 대응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