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유아교육

엉뚱한호랑이607
엉뚱한호랑이607

학교에서 50분 공부하고 10분 휴식은 어떤 원리로 정해진건가요?

안녕하세요

학교에서 50분 공부하고 10분 휴식은 어떤 원리로 정해진건가요?

뭔가 깊은 뜻이 있는건가요? 아니면 별 뜻이 없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유치원 교사입니다.

    50분 수업 10분 휴식은 전세계의 교육 시스템에서 일반화 된 관행으로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50분 수업시간은 교사가 필요한 내용과 활동을 다룰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며 학생들이 집중하고 자료에 참여할 수 있는 시간이라고 합니다.

    어떻게 보면 사람의 집중시간은 감안했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50분 수업 10분 휴식의 의학적 이유를 적어 드리자면 아무리 올바른 앉기 자세라도 1시간 이상 같은 자세를 취하는 것은 디스크와 근육에 무리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수시로 일어나거나 걷거나 스트레칭을 해 근육과 인대의 피로를 분산시켜 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이유로 학교수업이 50분 수업 10분 휴식으로 정해진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연령별 평균 집중시간이 반영된 시스템입니다. 1학년 평균 집중시간인 40분을 시작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수업시간이 늘어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이는 아이의 집중시간에 따라서 정해진것으로 볼수있으며

    아이가 연령이 올라갈수록 이러한 시간이 조율되며 늘어날수있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학교도 그렇고 직장도 그렇고 일정 시간을 근무 및 공부를 한 후에 쉬는시간이 부여되고 있습니다. 이는 이때까지 쌓여온 데이터를 가지고 만들어 졌다고 들은것 같습니다. 학생들이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은 보통 한시간 내외라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50분 수업을 하고 10분 쉬어 줌으로써 아이들의 뇌를 쉬게 해줄 수 잇는 시간을 준다고 합니다. 그렇게 진행을 해주면 아이들의 집중력이 점점 더 늘어나서 질 좋은 수업을 하고 받아 들일 수 있다고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이건 학교급에 따라 다른데 초등학교는 40분 수업 10분 휴식, 중학교는 45붓 수업 10분휴식, 고등학교는 50분 수업 10분 휴식입니다~아이들 성장 시기에 따라 평균 집중력 지속시기를 고려하여 이렇게 수업시간을 정한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각각의 나이대 별로 사람이 집중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시간이 모두 다 다르다고 합니다. 나이가 어릴수록 집중력의 정도와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짧고, 나이가 들어갈수록 점차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늘어난다고 합니다. 그걸 기준으로 시간이 정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학교에서의 수업시간과 쉬는 시간이 정해져 있는 이유는 학습효율과 학생들의 건강을 고려한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아이들은 긴시간 동안 공부를 하게 되면 피로가 쌓이고 집중력이 흐트러지기 때문에 짧은 시간동안 집중하고 10분간 휴식을 취함으로써 뇌가 피로하지 않게 효율적으로 학습을 할수 있기 위함이라고 생각이듭니다.

  • 안녕하세요. 학교에서 50분 공부 후 10분 휴식은 주로 학습 효율과 학생의 집중력을 유지하기 위해 설정한 시간입니다. 이 시간의 간격은 연구에 따르면 사람의 집중력이 최적일 때의 지속 시간과 관련이 있어, 집중력을 유지하고 피로를 줄이는 목적으로 정해진 것입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