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궁금한질문쟁이
궁금한질문쟁이

우리나라는 여름이 되면 장마가 오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우리나라 기후는 무더운 여름이 되면 해년마다 비가 계속해서 내리는 장마 시즌이 되는데요

왜 꼭 여름에만 장마가 오는지 그 원리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여름철에 장마가 오는 이유는 북태평양 고기압과 오호츠크해 고기압이 만나 정체전선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이 정체전선이 우리나라 부근에 머물면서 지속적인 비구름대를 형성합니다. 여름에는 기온이 높아 수증기가 많이 발생

    하고 이것이 강한 비로 이어집니다. 북태평양 고기압이 점점 북상하면서 장마 전선도 함께 북상해 비가 이어집니다.

    결국 여름철 기후 조건과 대기 흐름이 장마를 만드는 원인이 된다고 보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보다 쉽게 설명하자면 서로 다른 성질의 기압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름에 장마가 오는 이유는 북태평양 고기압과 오호츠크해 고기압이 한반도 상공에서 충돌하여 정체하게 되며

    이 전선이 오래 시간동안 머물게 되며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차가운 공기위로 올라가 냉각되어 수증기 물방울로 변하여 비가 장기간 내리게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여름철에 매년 찾아오는 장마는 사실 '정체전선'이라는 특별한 기상 현상 때문에 발생해요. 여름이 되면 남쪽의 따뜻하고 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이 세력을 확장해 우리나라로 다가오고, 북쪽에서는 차고 습한 오호츠크해 고기압이 버티고 서게 되죠. 이렇게 성질이 다른 두 공기 덩어리가 한반도 상공에서 만나 서로 밀고 당기면서 한곳에 머무르게 되는데, 이때 형성되는 것이 바로 장마전선이에요. 이 전선이 우리나라에 머무는 동안 여러 날 비를 뿌리게 되는 거랍니다. 다른 계절에는 이러한 고기압들의 세력 다툼과 위치가 여름처럼 딱 맞아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장마는 오직 여름에만 경험할 수 있는 독특한 기후 현상이 되는 거예요.

  • 안녕하세요. 정종하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 장마가 여름에만 오는 이유는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대기의 흐름과 기단의 충돌 때문입니다.

    여름이 되면 남쪽에서 덥고 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이 점점 세력을 넓혀 올라오고, 북쪽에서는 차고 습한 오호츠크해 고기압이 내려오게 됩니다. 이 두 기단이 한반도 부근에서 서로 만나게 되면, 그 경계에 비구름이 계속 만들어지는 전선, 흔히 말하는 ‘장마전선’이 생기게 되죠.

    이 장마전선에서는 따뜻한 공기가 차가운 공기 위로 올라가면서 많은 수증기가 응결돼 두껍고 넓은 비구름이 만들어집니다. 그래서 한 번 비가 내리기 시작하면 며칠씩 이어지는 경우도 많고, 때로는 집중호우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특히 6월 중순에서 7월 중순 사이에는 이 장마전선이 한반도 부근에 정체하면서 본격적인 장마철이 시작됩니다. 그러다 7월 말쯤 되면 북태평양 고기압의 세력이 더욱 강해지면서 장마전선을 북쪽으로 밀어 올리고, 그렇게 장마는 자연스럽게 끝나게 되는 거죠.

    반대로 봄이나 가을에는 기단 간의 충돌이 오래 이어지지 않고, 고기압과 저기압이 빠르게 지나가면서 전선이 머무르지 않기 때문에 장마처럼 지속적인 비가 오지 않습니다. 겨울은 대체로 찬 대륙성 고기압이 우리나라를 지배하고 있어서 비보다는 눈이 오거나, 아예 강수 자체가 적은 편입니다.

    결국 장마는 여름철에만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기후 현상으로, 서로 다른 성격의 공기덩어리가 일정 기간 우리나라 상공에서 힘겨루기를 하면서 만들어지는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맘에 드셨으면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