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치료 하고 크라운 안씌우는게 맞을까요?
의사선생님께서는 최대한 신경치료 없이 레진으로만 치료하려고 하셨으나 레진 치료 후에도 뜨거운 물 먹을때도 이가 시려서 결국 상악 제일 끝 어금니를 신경치료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신경치료 끝난 상태인데 레진으로만 표면 마무리를 했어요.
그런데 의사선생님이 제가 아직 20살이라 나이가 너무 어려서 레진 떼운걸로 최대한 버티다가 한 10년 뒤에나 크라운을 씌우자고 하더라구요 아직은 크라운 생각할 단계가 아니라고.. 워낙 어렸을때부터 다닌 치과라 선생님을 불신하는 건 아닌데 이게 크라운 안씌워도 괜찮은걸지 조금 불안해서 질문 올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치아가 남아있는 정도가 어느정도인지에 따라서 크라운을 씌우지 않고 사용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치아 상태가 어떤지 몰라서 정확히 답변을 드리기 어렵겟지만, 교합면을 삭제한 상태에서 신경치료를 한 상태라면 크라운을 하시는게 좋을것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나이가 어릴 경우, 치아가 비교적 건강하고 손상된 부분이 적으면, 레진으로 치료를 우선 고려하셔도 괜찮습니다. 신경치료 후 치아는 내구성이 떨어져 쉽게 깨질 수 있기 때문에, 치아를 보호하기 위해 크라운을 씌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젊은 나이에는 레진으로 치료하고 이후 상태를 지켜보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나중에 치아가 더 손상되거나 시린 증상이 심해지면 크라운치료를 하길 권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되셨으면 합니다.
평가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크라운 신경치료를 하게 되면 크라운치료를 하는 것이 정상적입니다. 음식을 먹다가 너무 강한 힘이 가해지면 치아가 파절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석민 치과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론 신경치료 후 어금니는 크라운을 씌워주는 것이 치료의 마무리입니다. 신경치료된 치아는 약해졌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옆의 사랑니 맹출 등이 문제여서 크라운 씌우는 것을 다소 늦추자고 했을 수도 있습니다. 자세한 이유는 해당 치과에 직접 문의해보는 것이 가장 확실하게 알 수 있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