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하나쯤이야 하는 생각을 가지는 자녀 어떻게 할까요?
나 하나쯤이야 하는 생각을 가지는 자녀가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요즘 들어 아이가 나 하나쯤 이런 행동 해도 괜찮다는 생각을 가져서 자꾸 행동이 모납니다. 지도 방법 알려주세요
아이가 '나 하나쯤이야'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어서 걱정이 되겠습니다.
이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기, 책임감과 공동체 의식을 키우기,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하기, 부정적인 사고를 긍정적으로 바꾸게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나 하나쯤이야' 대신 '내가 하면 모두에게 도움이 될거야'라는 사고방식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면 되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나 하나 쯤 이야" 라는 것은 상대방의 예절.예의.인성에 대한 부분에 있어서
늘 조심하고 주의를 해야 하는 생각의 가치관으로
이러한 부분은 공중도덕의 중요성을 깊이를 알려주는데 필요로 하는데요.
공중도덕 이라 함은 우리가 함께 살아가는 세상에서 서로 불편하지 않기 위해 꼭 지켜야 하는 규칙과 예의를 말합니다.
그렇기에 아이에게 알려 줄 것은
공중도덕을 지키기지 않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공중도덕이 왜 중요하고 꼭 지켜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자녀가 나 하나쯤이야 라는 생각을 하며 책임을 회피하거나 자기 행동에 무심해지는 모습을 보일 떄는 그 기저에 있는 감정이나 인식을 이해하고 이를 바르게 이끌어줄 수 있는환경과 태도가 필요합니다
이와 같은태도는단순한 반항이나 게으름에서 비롯된것이 아니라 개인의 영향력에 대한 무력감이나 공동체 의식의결여에서 비롯될 수있습니다
따라서 지도 방법도 단순한 지시나 훈육보다는 인식의 전환과 공감, 경험 중심의 접근이 중요합니다
먼저, 자녀가 자신의 행동이 다른 사람이나 전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제 상황을 통해 체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중요합니다
예를 들어서 가족 내에서 작으 ㄴ역할이라도 자녀가 맡아볼 수 있도로 ㄱ하여 그 역할을 수행하지 않았을떄의 불편함을 스스로 느끼게 하는 경험을 제공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강미숙 보육교사입니다.
요즈음 아이들의 공통적인 고민 입니다 아이들이 더불어 살아 갈수 있도록 부모님이 모델링이 되어 주는것이 중요합니다
이아들에게 공동체 의식의 중요성을 강조해 주세요 자신의 행동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예를 들어 설명해 줍니다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고 타인을 배려했을때 결국 내가 혜택을 받는다는것을 가르쳐 주세요
관련책을 통해 스스로 깨우칠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파이팅입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생각에 혼내기 보다는 공감하고 이해하는 자세를 보여 주세요
많은 사람들이 나 하나쯤이야 라는 생각을 가질 때 공동체가 어떻게 될지 함께 고민해 볼 수 있습니다.
공원에 사람들이 자신만 생각하고 쓰레기를 버리기 시작하면, 공원은 쓰레기로 뒤덮 힐 겁니다.
나 뿐만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마음도 생각할 수 있는 공감 능력을 키워 주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당장 한번의 행동이나 그러한 한번의 마음가짐이 크게 문제가 되진 않지만, 그게 누적이 되면서 이기적으로 성장하게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할 수 있어요. 아이가 조금 더 사회성을 가지고 다른 친구들을 배려하는 마음가짐을 가질 수 있도록 격려해 주시고 가정에서도 지도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나 하나쯤이라는 생각은 책임감 부족에서 비롯될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자신의 행동이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자기 행동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