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엄청난잉어123
엄청난잉어12322.07.02

명치통증과 발열의 원인이 뭘까요??

나이
59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간수치 관리약
기저질환
간수치 관리 중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아버지가 최근 편찮으시다 하는데 원인을 알 수가 없어 조금이나마 도움을 얻고자 글을 써봅니다

며칠 전부터 아버지가 명치 끝부분이 아프다 하셔서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았습니다. 혈액 검사나 소변 검사 상으론 염증 수치를 비롯한 여러 수치들에는 이상이 없었고, 머리 및 복부 ct 결과 위가 부었다고 진단을 받으셔서 위내시경을 받으셨습니다. 근데 위내시경 상으로는 아무 문제가 없다 하네요...

처음엔 증상을 보고는 위염이나 식도염을 예상했는데, 내시경 상으로도 아무 이상이 없다 하고.. 검사 후 처방받은 약을 드셔도 아무 효과가 없는 듯합니다. 오늘은 발열도 있으시고(37.5도 안팎으로 나옵니다) 두통과 어깨 근육통도 있으시다네요. 혹시 몰라 다녀온 한의원에서는 근육이 전체적으로 경직되어있다는 얘기만 들었고요.

아버지께선 현재 지방에 계신데 다른 지역 더 큰병원을 찾아가봐야할지 걱정 중이십니다.. 인터넷을 통해서 제가 찾아봐도 알 수 있는 게 없고요. 혹시 의사 분들께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는 말씀 해주실 수 있을까 하여 글 남겨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자가면역질환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이며 정확한 원인을

    알기 어려운 경우, 종합 병원 응급실을 통해 검사를 받아 보는 것도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명치 통증이 있으나 소화기 검사에서 이상을 보이지 않는 경우, 협심증 등의 가능성도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현재 증상으로 유추해보면 역류성 식도염의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이란 위-식도 사이 괄약근이 약해져 위산이 위에서 식도로 역류하는 질환으로 주로 흉부 작열감, 명치 끝 통증, 만성 기침을 일으킬 수 있으며 후두염이 동반될경우 목 이물감 및 인후통을 호소할 수도 있습니다. 해당 질환에 대한 프로톤펌프 저해제와 같은 약을 복용 후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 강력히 해당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또 역류성 식도염에는 일반적으로 카페인, 초콜릿, 음주, 흡연, 탄산수, 과식, 자기전 음식물 섭취 등을 지양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처방받은 약물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기 어려우나 역류성 식도염에 효과적인 약물이라면 증상 호전이 있을 수 있으며 복용하신지 시일이 얼마 되지 않았다면 좀 더 경과관찰을 하시고 생활습관 개선을 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후에도 증상이 지속된다면 재내원하시어 추가로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미열은 별개의 질환일 수 있으므로 코로나19 검사를 반복하시면서 경과 관찰 및 필요시 추가 혈액검사 및 엑스레이등을 통해 열이나는 원인을 찾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현재 증상은 상부 위장관의 문제 혹은 흉부의 근골격계 문제로 생각됩니다.

    37.5도는 발열로 보기는 어려우며 근골격계의 원인감별을 위해 정형외과 방문을 해보시기를 권장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대표적은 증상은 타오르는 듯한 가슴통증입니다. 이외에 소화불량, 목 이물감 등이 있습니다. 위험인자로는 음식 복용후 바로 눕는 습관, 과식, 흡연, 음주 등이 있습니다.

    생활 습관 개선과 함께 내과 방문하셔서 내시경 검사, 약물치료 함께 병행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일단 검사를 통해 심각한 이상이 없다고 들으셨다면 한편으로는 다행이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충분한 검사를 해도 이상이 없다면 '원인 확인'보다는 '증상 치료'에 신경을 쓰시면 됩니다. 일단 명치 통증에 대해서는 위장약을 드시면 됩니다. 발열은 심하지는 않은 상태라서 38도 이상이면 해열제는 드시면서 열이 떨어지는지 기다려 봐도 됩니다. 1주일 정도 충분히 관리해 보시고 그래도 증상 호전이 없다면 다시 검사를 받아보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