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국 중심의 새로운 무역 블록 형성, 글로벌 무역 질서에 미칠 영향은?
안녕하세요.
BRICS 등 신흥국가 중심의 새로운 무역 블록 형성이 글로벌 무역 질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기존 선진국 중심의 무역 체계와 공존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BRICS 등 신흥국 무역블록은 해당 국가들의 경제력 증대, 다극화 탈 달러화 등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이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과 같은 기존 선진국, 그리고 트럼프 차기 대통령의 경우 탈 달러화를 하는 경우 관세부과를 경고하기도 했습니다.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1170074.html
이에 따라 기존 선진국 중심의 체계를 완전히 대체하기는 힘들지만 점진적인 변화는 존재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신흥국 중심의 무역 블록 형성은 글로벌 무역 질서에 다원화를 가져오며, 기존 선진국 중심 체계에 도전할 가능성이 큽니다. BRICS 국가들은 경제 규모와 성장 잠재력을 기반으로 무역에서 더 큰 발언권을 확보하고, 자원이나 기술 협력을 강화하면서 독자적인 경제 네트워크를 구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 체계에 의존하지 않고 새로운 무역 규범과 협정을 마련하려는 시도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기존 선진국 체계와의 긴장뿐 아니라 협력의 기회도 제공합니다. 신흥국과 선진국 간 공존을 위해서는 상호 이익을 고려한 다자간 협력과 조율이 필요합니다. 세계무역기구(WTO) 같은 국제 기구의 역할을 강화하고, 글로벌 무역 규범이 다양한 경제적 현실을 반영할 수 있도록 개편하는 노력이 요구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신흥국 중심의 새로운 무역 블록 형성은 글로벌 무역 질서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brics 등 신흥국들의 경제력 강화와 함께 이들 국가 간 협력이 확대되면서 기존 선진국 중심의 무역 체계에 대한 대안적 질서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최근 아시아 지역에서는 중국, 일본, 한국 등 전통적 강자들의 영향력이 다소 약화되는 반면,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신흥국들의 존재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는 세계 무역의 중심축이 다변화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신흥국 중심의 무역 블록이 기존 선진국 중심의 체계를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오히려 두 체계가 공존하면서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글로벌 무역 질서의 다원화를 촉진하고, 국가 간 협력과 경쟁의 새로운 균형점을 모색하게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