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경제와 거시경제의 공통점 및 차이점은 뭔지 알 수 있을까요?
미시경제는 제가 듣고 들은 바로는 자원을 분배하고 배분하고 기업의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경제학으로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 거시경제는 이보다 더 넓은 의미인지 정확한 개념은 잘
모르겠네요. 미시와 거시의 공통점과 차이는 무엇이 있을까요?
미시경제학은 ‘선택(choice)’에 관한 학문입니다. 특히 합리적 선택(rational choice)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으며, 의사결정주체(소비자, 기업, 정부, 정치인 등)가 자신의 목표(효용, 이윤, 표 등)을 극대화하기 위해 어떤 선택을 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다루는 학문입니다. 반면 거시경제학은 경제의 총량변수(aggregate variable), 즉 GDP, 인플레이션, 실업률, 이자율 등 간의 관계를 설명를 설명하는 학문입니다. 이러한 변수들은 개인들의 선택과 일견 무관해보이거나 혹은 개인들의 입장에서는 주어진 것들로 받아들이는 변수이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움직인다는 사실을 갖습니다. 거시경제학은 이런 변수들 간에 어떤 상관관계 내지 인과관계를 갖는지를 밝히는 학문입니다.그러나 양자는 완전히 가분적인 것은 아닙니다. 경제의 총량변수의 움직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결국 경제를 구성하고 있는 개인들의 의사구조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합니다. 다시말해 개인들의 미시경제학적 사고방식을 이해할 때 비로소 정확하고 효과적인 거시경제적 분석이나 예측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거시경제학에서도 미시적 기초가 강조되고, 오늘날 거시경제학들은 과거와 달리 이러한 미시적 요소에 기반하여 이론을 구축합니다.
질문해주신 미시 경제와 거시 경제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미시와 거시 경제는 모두 한 경제 주체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 공통점입니다.
다만, 미시 경제는 주로 가계와 기업에 중점을 두면서 경제를 살펴보는 것이고
거시 경제는 주로 국가 전체를 두고서 경제를 살펴보는 것입니다.
그래서 미시는 나무를, 거시는 숲이라고 비유됩니다.
미시경제는 개별 시장, 기업, 가계 등의 행동과 의사결정을 연구하는 반면, 거시경제는 전체 경제 시스템의 동향과 흐름을 연구하며 미시경제는 개별 요소들의 상호작용과 시장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거시경제는 경제 전체의 총수요, 총공급, 인플레이션, 실업률 등을 중심으로 분석합니다
거시경제학과 미시경제학은 둘 다 경제학의 주요 분야이지만, 각각 다른 관점에서 경제를 바라보고 연구합니다.
미시경제학은 개별적인 경제 주체들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며, 주로 시장 메커니즘과 가격 결정 등을 다룹니다. 즉, 미시경제학은 '작은' 규모의 경제 현상들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에 초점을 맞춥니다.
반면, 거시경제학은 전체 경제에 대한 분석을 다루며, 국가 수입, 고용률, 인플레이션 등과 같이 큰 규모의 경제 현상을 다룹니다. 거시경제학은 전체적인 경제 시스템을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를 위해 국민소득, 실업률, 국제수지 등의 통계적 자료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의 가장 큰 차이점은 그들이 다루는 범위와 관점에 있습니다. 미시경제학은 작은 규모의 경제 현상을 분석하는 반면, 거시경제학은 전체 경제를 다룹니다. 하지만 두 분야 모두 경제 활동의 원인과 결과를 이해하고 예측하려는 노력에서 출발하므로, 그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