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떼쓰는거 어디까지 받아줘야할까요?
아이가 떼쓰는거 어디까지 받아줘야할까요?? 몇살까지?
아니면 한번 받아주기 시작하면 끝도없을까요??
어린아이라서 하고픈거는 다들어주는대 버릇나빠질까바 걱정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경험에 대한 기억은 그 이후의 경험에 대해 반응에 영합을 주기 때문에 항상 혼나고
엄격하게 다루어졌던 아이들은 마음속에 화가 많아서 부정적인 성격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아이와의 맞불 작전은 무용지물로 커가면서 힘한 반항 행동으로 부모를 제압하게 됩니다.
원하는게 무엇인지 진정으로 물어보는 것만으로 화를 풀어줄수 있습니다.
아동기에는 친절한 반복 훈련과 이를 통한 친절한 피드백으로 서서히 변화하며 성장해
가는 걸 지켜보고 격려해 주시는 것이 좋으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떼쓰는 행동에 대해서 허용범위는 정해주어야 합니다.
아이가 돌 전까지는 떼부림이 의사표현의 수단 입니다.
그러나 미운 세살 이라고 불리는 생후 20개월 부터는 자기감정의 욕구가 생겨 부정인 감정을 떼쓰기로 표현 하기 때문에 이 시기에 잡아죽여야 합니다.
특정 사람에게 유독 떼를 쓴다면 위에서 언급했듯 허영범위를 정해주세요. 무조건 고집 부린다고 다 되는 건 아니라는 점을 인지시켜 주세요.
낯선 사람에게도 떼를 쓴다면 정서 발달을 체크해 보시면 좋습니다.
아이의 마음과 감정에 채워지지 않는 부분이 있는지 유심히 살피고 돌봐주세요.
일상적으로 떼를 쓴다면 일관된 대처법을 실천해 보세요. 단호하게 안 된다고 이르고 아이의 마음을 충분히 공감해 주고 아이가 수용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해 주도록 하세요.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떼를 쓸때
훈육의 태도가 그때그때 달라지는 것보다는
한결같이 단호하고 일관된 태도를 보이시는것이
아이의 훈육에 더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떼를 하나부터 열까지 다 수용하시면 나중에 아이의 행동수정이 필요하여 훈육을 해야 하는 상황이 생기면 아이의 통제력을 잃게 됩니다
아이에게 떼를 쓰지 않아도 되는 상황을 반복적으로 이야기 해 주시고 왜 하면 되지 않는지를 설명 해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자라면서 점점 자기 중심적인 성향도 강해지고, 주관적인 면도 강해집니다.
이럴 땐 부모님께서 우리 아이가 많이 자랐구나, 많이 컸구나 라고 대견스럽게 생각하셔야 합니다.
떼를 쓸 땐 길게 훈육을 하기 보단, 짧고, 단호하고, 일관된 훈육을 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어느정도 선을 정하고 받아주시는게 좋아요.
부모님이 슈퍼맨도 아니고 한계나 불안정함도 가지고 있음을 아이도 알 필요가 있습니다.
정해진 기준을 넘어선다면 단호하게 대처해 주셔야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