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 결과 소화기계 검사 홍반성 위염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20대로 최근에 종합건강검진을하고 오늘 결과지를 받았습니다 소화기계 검사지에 홍반성 위염이라고 표시되있는데요 홍반성 위염이 무엇인지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표재성 위염의 한 종류 입니다.
만성표재성 위염은 30대 이상의 한국인에게서 매우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위 검진을 받은 2만 5천 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자의 3분의 1이 표재성 위염을 앓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만성표재성 위염이 이렇게 자주 발생하는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의 감염, 자극적인 음식 섭취, 술과 담배, 스트레스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특히 한국인은 서양인에 비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의 보균율이 높고, 매운 음식과 짠 음식을 즐기는 경향이 있어 만성표재성 위염이 더 흔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위내시경 검사에서 만성 염증이 발견되더라도, 증상이 없다면 특별한 약물 치료를 권장하지 않으며,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제산제, 진경제, 소화제 등을 복용할 수 있습니다. 식습관 관리에 있어서도 자극적인 음식, 술, 담배 등을 피하는 것이 좋으며, 커피도 진하게 마시거나 빈속에 마시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제로 식습관을 엄격히 지키기는 어렵지만, 덜 자극적인 음식을 선택하고 가공식품이나 밀가루 음식 섭취를 줄이려고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음주 시에는 물과 함께 마시거나 음식을 같이 먹는 것이 좋고, 커피는 연하게 마시거나 식후에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양배추나 콜리플라워에 풍부한 비타민 U는 손상된 위벽 회복에 도움이 되므로 위 건강을 위해 자주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의 감염 예방을 위해 식사 시 각자 음식을 덜어 먹고 식기류를 철저히 소독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만성표재성 위염으로 진단받았다면 정기적인 내시경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하며, 헬리코박터 균 감염이 확인되면 제균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