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슬기로운만보
슬기로운만보

화물과 자유화물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무역에서 화물을 주로 다루잖아요

그런데 이제 화물말고도 자유화물 이라는 말이 있던데

일반적인 화물과 차이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유영 관세사입니다.

    수출입 통관에서 화물(cargo)과 자유화물(free cargo)은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화물(cargo)은 수출입되는 상품 또는 물품을 일컫습니다. 화물은 일반적으로 수출입 거래에서 수송 수단(선박, 항공기, 트럭 등)에 실려서 이동하게 됩니다. 이때, 수출입 국가의 관세청이나 통관 담당 기관에서 수입신고를 통해 수입세를 부과하고, 세금을 납부한 후에 수입이 가능합니다.

    반면, 자유화물(free cargo)은 관세와 세금이 부과되지 않은 상태의 물품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자유화물은 특정한 세부 항목에 해당하거나 통상적으로 관세와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 물품으로 구성됩니다. 자유화물은 수출입시 관세와 세금이 부과되지 않으므로 더욱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기업들은 자유화물을 활용하여 더욱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또한 "Partner Nominaiton Cargo"의 대비되는 의미로의 FREE cargo 도 있습니다. 도착지에 있는 포워더로서 consignee에게 D/O(Delivery Order) release하는 경우를 말하며 운임 청구는 선적지에서 청구하기 때문에 대표적인 인코텀즈는 DDP, CIF, C&F 등이 있습니다.

    추가하여

    해운동맹은 화물의 대부분에 대하여 표정운임율(Tariff Rate)을 정하고 있는데, 이 표정운임율에 구속받는 화물을 Closed Cargo라고 부르는데 대하여 미곡이나 시멘트 등처럼 계약의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는 제외화물(Exception Cargo ; Free Cargo)을 Open Cargo라고라고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자유화물(Open Cargo)에 대하여 한국무역협회에서 안내하는 사항에 따르면, 다음의 내용이 있습니다.

    해운동맹은 화물의 대부분에 대하여 표정운임율(Tariff Rate)을 정하고 있는데, 이 표정운임율에 구속받는 화물을 Closed Cargo라고 부르는데 대하여 미곡이나 시멘트 등처럼 계약의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는 제외화물(Exception Cargo ; Free Cargo)을 Open Cargo라고 부른다.

    따라서 Open Cargo는 비동맹화물(Non-conference Cargo)이므로 각 선박회사가 자유로이 운임(Open Freight ; Open Rate)을 결정할 수 있고 동맹하주도 자유로이 비동맹선에 적재할 수 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자유화물은 많이 사용되는 용어는 아니지만, 교전국(전쟁국가)이 포획하거나 몰수할 수 없는 중립국 선박의 화물입니다.

    과거와 같이 전쟁이 활발할때는 상대국의 화물에 대하여는 탈취가 가능하였지만, 중립국의 화물의 경우에는 이를 탈취할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해당시기에 많이 사용된 단어라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경우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