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오늘배움
오늘배움

기초지수 가중방식 중 '시가총액가중'에 대해 알려 주세요.

주식 기초 지수를 산출할 때 이용되는 방법 중 하나가 '시가총액가중'이라고 하는데요.

어떤 방식인지, 이 방법으로 산출하는 지수에는 어떤 지수가 있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 한마디로 지수를 추정할 때 시가총액이 높은 주식의 비중을 더 높이겠다는 것입니다

    • 이는 가장 기초적인 산정방식으로 삼성전자가 코스피에서 차지하는 시총이 가장 높기에

      삼성전자가 상승하면 코스피도 대체적으로 상승하며 서로 커플링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 그 예시 입니다.

    감사합니다.

  • 시가총액가중지수와 같은 경우에는 시가총액이 높은 규모의 기업들을 가중하여 더 높은 비율을 편입시킨다고 보시면 될 것이며 보통 S&P500, 코스피지수 등이 이를 따르고 있습니다.

  • 질문해주신 시가총액 가중방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시가총액 가중방식이란 구성 종목의 시가총액만큼 비중을 차등 적용해

    지수를 산출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 대표적인 예시는 코스닥 150이 있습니다.

    코스닥 시장 대표하는 종목 150가지를 구성되어 있으며, 코스닥에 상장된 모든 종목을 기술주 섹터와 비기술주 섹터 4개로 분류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후, 비기술주 섹터별로 6개월 평균시가총액 기준 누적시가총액 60% 이내의 종목을 선정하고, 잔여종목은 기술주섹터에서 시가총액 순으로 선정하고 나서 고른 각 종목의 시가총액 비중만큼 가중치를 주어 지수를 산정합니다

  • '시가총액가중'은 주식 시장에서 기초지수를 산출하는 방식 중 하나로, 각 기업의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지수를 구성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식에서는 기업의 시가총액이 클수록 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게 됩니다.

    시가총액은 일반적으로 회사의 주식 가격에 주식 수를 곱하여 계산됩니다.

    대표적인 시가총액가중 지수는 S&P 500와 코스피가 있습니다.

  • ✅️ 시가총액 가중방식은 시장 가격에 상장 주식 수를 곱해서 지수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이 방법으로 산출하는 지수에는 미국 S&P500 지수, 한국 KOSPI 지수 등이 대표적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시가총액가중 방식은 회사 크기에 따라 지수에 더 큰 영향을 주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으로 산출하는 지수는 큰 회사가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해 지수를 움직이게 됩니다.

    이런 방식으로 산출되는 대표적인 지수로는 코스피와 S&P 500이 있습니다.

  • 시가총액가중 방식은 기업의 시가총액(시장 가치)에 따라 지수를 가중평균하는 방식입니다. 시가총액가중 방식은 시장에서 가장 큰 기업이 더 많은 영향력을 가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시장에서 가장 큰 기업이 지수에 미치는 영향이 큽니다.

  • 시가 총액 가중 방식은 주식 시장 지수를 산출할 때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각 종목별로 주가와 발행 주식 수를 곱해서 시가총액을 구하는데 이 시가총액의 비율에 따라 지수에 미치는 영향력 이 결정됩니다

    각 기업별로 실제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반영되어 계산되니까 시장 전체 움직임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습니다

    약간 단점으로는 큰 기업 몇 개의 움직임이 시장 전체 이를 좌지우지할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이 방법을 쓰는 지수는 나스닥 지수나 S&P 지수 등 우리가 아는 대부분의 지수가 이 방식을 쓰고 다우지수 정도만 이 방법이 아닙니다

  • 기초지수 가중방식 중 시가총애가중이 궁금하시군요.

    시가총액가중지수는 시가총액에 해당하는 기업들의 총합에 상장주식수를 나누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100대 기업을 기준으로 한다고 하면 100대 기업의 시가총액을 모두 합하고 나누기 상장주식수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