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탁월한코브라21
탁월한코브라2123.02.23

기준금리 동결 했는데 미 금리 하고 차이가 많이 나면 우리나라 경제는 어떤 가요?

미국 연방준비은행 금리가 우리나라 금리 하고 차이가 많이 나면 우리 나라에 어떤가요?

우리나라도 금리를 같이 오려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차이가 지속적으로 심화되게 되는 경우에 발생하게 되는 것은 '달러환율의 상승'입니다. 다만 현재처럼 기준금리 격차가 심화된 상태보다는 '미래에 발생하게 될 격차'가 환율의 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미국의 CPI값이 재상승할 우려가 커지고 이로 인해 미 연준의 금리인상이 다시금 빨라질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면서 최근 달러환율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렇게 달러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원자재를 전적으로 해외에서 100% 수입해야하는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원자재 매입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서 인플레이션 상승을 초래하게 되다 보니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를 심화시키지 않기 위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을 따라가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다만 우리나라의 최근 가계부채 연체율이 증가하고 있고 PF대출의 연체액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금리인상의 부담감이 심해져 미국의 금리를 빠르게 쫓아가기 보다는 환율과 금리인상의 균형을 맞추는 방법으로 따라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봐야하는 상황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도 미국과 우리나라의 금리인상 속도의 차이로 기준금리상 1.25%정도 금리차이가 있습니다. 미국의 지속적인 금리인상으로 미국과 우리나라 사이에 금리차이가 확대된다면 높은 금리로 국내에 투자된 자금이 미국으로 유출될 수 있습니다. 최근 외국인의 주식매도도 늘어나고 있고 원달러 환율도 1200원대 초반에서 1300까지 상승한 상황입니다.이에 따른 수입물가의 상승도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대웅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많이 차이나면 원달러 환율에도 영향을 미치고 수입과 수출에도 손해와 수익이 나는 기업들이 생깁니다.

    금리 인상을 하면 원화 가격 방어로 보통 따라 오르는 것이 좋긴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가 너무 벌어진다면

    자본유출 및 원달러 환율 급등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미 간 금리 격차 확대는 우리 경제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미국은 금리를 인상하고 한국은 저금리를 유지하면 더 높은 수익률을 찾아 한국에서 미국으로 자금이 빠져나갈 수 있다. 이로 인해 한국 원화는 미국 달러에 대해 약세를 보일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이어지고 한국 기업이 상품을 수입하는 데 더 많은 비용이 들게 됩니다.

    반면 한국이 미국에 맞춰 금리를 올리면 경제성장 둔화와 투자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높은 이자율은 기업과 소비자의 차입 비용을 증가시켜 경제 활동을 위축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금리차를 맞추기 위해 한국이 미국만큼 금리를 올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대신 한국은행은 금리를 결정할 때 인플레이션, 경제성장, 고용 등 다양한 경제 요인을 따져봐야 합니다. 또한 확대되는 금리 격차의 영향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재정 정책과 같은 다른 도구를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목표는 국가의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경제 환경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