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완강한콘도르88
완강한콘도르8822.10.31

밥 안먹는 6세 아이 식습관 어떻게 해야할까요?

원래 밥 먹는거 안좋아해서 전문가들말대로 안먹으면 치우고 또 안먹으면 치우고 했더니 위가 줄어들었는지 배고프단 말을 잘 안해요. 하루 한끼도 정상식사량으로 먹질 않아요.아이는 점점 말라가고 키도 안크고해서 떠먹여줘서라도 먹일려고 하니(떠먹이면 다 먹어요) 또 전문가들은 그럼 안된다네요 ㅜ ㅜ 그 전문가들은 밥잘먹는데 밥투정하는 아이만 키운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6세가 되면 스스로 먹는습관을 기르는것이 중요합니다

    떠먹이면 다먹는다는 것은 아이가 먹지 않을때 떠먹여주기 떄문에 나타날수있기에

    가능하면 이러한 것을 줄이는것이 좋으며

    공복감을 유지해주도록 하는것이 좋으며

    간식이나 군것짓 음료등 식사를 방해할만한요소를 제거해주는것이 좋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31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제일 중요한 치료약은 ‘공복감’입니다. 활동하는 아이가 배가 고파지면 먹을 것을 찾게 마련이므로, 인내심을 갖고 기다려야 합니다. 아이가 공복감을 느끼는데 필요한 시간을 부모가 참지 못하고 억지로 식사를 하게 하거나 간식을 내어준다면, 밥과 더욱 멀어지는 계기를 제공할 뿐입니다. 또한 식사 시간을 필요 이상으로 길게 가져가는 것도 교정이 필요합니다. 식사시간은 30분 이내로 줄이고 잘했을 때 칭찬을 해주는 등 즐거운 식사시간이 되도록 해야 하며, 미디어나 책, 장난감 등을 식사시간에 이용하는 것은 중단해야 합니다.

    더불어 부모의 일관된 태도 혹은 행동이 중요합니다. ‘어떻게 해서든 좋은 음식을 많이 먹여야지’라는 생각을 버려야 합니다. 또 식사 할 수 있도록 유인하는 의미로 식사 중간에 단맛의 간식을 주는 것도 피해야 합니다. 일단 정해진 만큼의 밥을 먹지 않으면, 아이가 어떤 행동을 하더라도 지속적으로 밥 먹이기를 시도합니다. 그러다 보면 아이에게는 ‘아무리 울고 떼를 써도 엄마한테는 안 된다’는 인식이 생기게 되고, 다음부터는 조금씩 행동의 변화를 볼 수 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좋아하는 반찬들로 식사를 구성하여

    식사의 즐거움을 먼저 주시길 바랍니다.

    그럼과 동시에 아이가 밥을 20번 잘먹으면

    아이가 좋아하는 장난감 등을 사줌으로써

    동기부여를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6살이면 스스로 먹을 수 있도록 지도를 하셔야 할 것 같아요.

    아이가 음식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요리에 참여를 시키는 것도 좋습니다

    아이와 함께 오늘 할 요리 재료를 사러 마트에 가는 것도 좋아요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그 정도로 밥을 안 먹어서 영양 상태가 좋지 않다면

    떠서라도 먹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아니면 식사 대용으로 프로틴 쉐이크와 같이 대체 식품이라도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밥투정을 많이한다고 한고

    아이가 밥을 잘 먹지 않는다고 한다면

    밥에 김이나 계란을 뭉쳐서

    주먹밥처럼

    하나씩 입에 넣어주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모님이 인내해주셔야 할꺼 같아요. 아무리 시간이 걸려도 혼자먹는 습관을 가질수 있도록 지켜봐주시고 지도해주세요~.

    밥먹는 시간을 길게 가져가주고 중간중간 밥을 먹이도록 해보셔야할 것 같습니다. 그외에 쌀전을 해주는 방법도 있구요. 아이의 활동량을 늘려 아이가 배고픔을 유도해보는것도 하나의 방법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밥을 잘먹지 않고

    점점 말라가고 키도 안큰다고 한다면

    아이에게 의사를 물어보시기 바랍니다

    어떤 것이 먹고싶은지를 물어보고

    그것을 줘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