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보험

의료 보험

외구기
외구기

4세대 실비 보험료 갱신 됐는데.....

4세대 보험료 7천원에서 9천원 가까이 올랐네요..

할인은 235원 됐어요... 원래 4세대 실비도 이렇게 올라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실비는 갱신때마다 인상이 되기도 인하가 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인상된다고 보면 됩니다 보험사의 전체손해율로 인상율이 정해지고 개인의 3대비급여항목의 청구금액에 따라서 최대 300%까지 개인할증이 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4세대 실비도 의료비상승으로 인해 기본적으로 갱신시 보험료가 계속 인상됩니다ㅠㅠ

    나이가 들수록 상승폭은 더 커질거에요ㅠㅠ

  • 안녕하세요. 권태민 보험전문가입니다.

    실비보험의 요금 인상 기준은 연령증가, 전체 손해율, 비급여 이용률입니다.

    4세대 실비는 차등제로 기존의 옛 실비보다는 개인에 조금 더 맞추어져 있다고는 하지만 동일 연령대 또는 유사 조건의 다른 가입자들이 많은 청구를 하면 일정부분 반영됩니다.

  •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4세대 실손의료비중 비급여 실손의료비는 본인의 연간 비급여 실손의료비 지급금액 대비하여 할인, 할증됩니다.

    또한 급여실손의료비는 보험사의 손해율에 따라 할증,할인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욱 보험전문가입니다.

    네, 실비보험은 어쩔 수 없습니다.

    타인의 청구가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결국 실비보험 자체의 손해율을 감안하면 많이 오를 수 밖에 없는 구조죠.

  •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실비보험의 보험료가 평균 7.5% 오르고 있는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실비보험료가 오르는 이유는 보험회사의 전체적인 손해율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상반기, 실손보험의 손해율은 118.5%였다고 합니다. 보험회사가 받는 보험료가 100원이면 주는 보험금이 118.5원을 지출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3세대와 4세대에서 실비보험 손해율이 149.5%, 131.4%로 훨씬 높았다고 합니다. 보험업계가 매년 1~2조원의 적자에 시달리는 상황이기에 보험료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할인이 되는 것은 비급여 의료비 이용 개인별 차등제에 따른 것으로 한번도 사용하지 않고 0원인 경우에 할인 235원이 되는 것입니다. 저 또한 그렇습니다. 전체적인 손해율은 모든 보험계약자가 다 같이 감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지만 비급여 이용률이 높은 것이 손해율을 높이기 때문에 이번 12월에 나오는 5세대부터는 비급여 혜택을 대폭 줄여서 비중증 비급여의 경우에는 50% 자부담으로 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선희 보험전문가입니다.

    모든 실손보험은 연령증가와 회사의 손해율에 따라 갱신시 인상되며 4세대는 직전1년간 비급여 보험금 지급액에 따라 최대 300%까지 할증됩니다.(산정특례자와 장기요양1.2등급은 제외)

  •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4세대 실비는 1년간 보험금 청구 이력에 따라 개인적으로 할증됩니다.

    비급여 청구 이력에 따라 달라지는데 100만원 미만은 유지.

    100-150만은 100%할증

    150-300만은 200%할증

    300만 이상은 300% 할증 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우 보험전문가입니다.

    네. 안타깝지만 그렇습니다. 4세대 실손보험은 그동안에 출시된 1, 2, 3세대에서 보험사들이 손해율을 조금이라도 내리고자 만든 실손보험이세요. 그래서 갱신이 되서 올라갈 때 꽤 많이 올라갑니다.

    물론 4세대로 전환을 하실 때 보험료가 저렴해진다고 설명은 들으셨겠지만 실상은 그렇지가 않습니다.

    공제도 기존엔 아마 급여진료는 10%밖에 안되셨을텐데 지금은 20%의 공제가 되니 보장면에서도 조금 손해를 보실꺼구요.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보험전문가입니다.

    실비보험이 인상이 되는 것은 보편적인 상황입니다. 보통 이러한 실비의 경우 갱신과 비갱신이 있는데, 상품이 갱신의 상품인 부분이 보험료 상승이 된 요인이라고 보이며, 이는 개인마다 다른 의료의 이용실적 등이 반영된 부분과, 보험사의 전체적인 손해를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보험의 인상폭은 보험사 마다 다르지만 평균적으로는 약 15% 정도의 상승이 있었다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