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세대 실비 보험료 갱신 됐는데.....
4세대 보험료 7천원에서 9천원 가까이 올랐네요..
할인은 235원 됐어요... 원래 4세대 실비도 이렇게 올라요??????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실비는 갱신때마다 인상이 되기도 인하가 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인상된다고 보면 됩니다 보험사의 전체손해율로 인상율이 정해지고 개인의 3대비급여항목의 청구금액에 따라서 최대 300%까지 개인할증이 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4세대 실비도 의료비상승으로 인해 기본적으로 갱신시 보험료가 계속 인상됩니다ㅠㅠ
나이가 들수록 상승폭은 더 커질거에요ㅠㅠ
안녕하세요. 권태민 보험전문가입니다.
실비보험의 요금 인상 기준은 연령증가, 전체 손해율, 비급여 이용률입니다.
4세대 실비는 차등제로 기존의 옛 실비보다는 개인에 조금 더 맞추어져 있다고는 하지만 동일 연령대 또는 유사 조건의 다른 가입자들이 많은 청구를 하면 일정부분 반영됩니다.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4세대 실손의료비중 비급여 실손의료비는 본인의 연간 비급여 실손의료비 지급금액 대비하여 할인, 할증됩니다.
또한 급여실손의료비는 보험사의 손해율에 따라 할증,할인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민욱 보험전문가입니다.
네, 실비보험은 어쩔 수 없습니다.
타인의 청구가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결국 실비보험 자체의 손해율을 감안하면 많이 오를 수 밖에 없는 구조죠.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실비보험의 보험료가 평균 7.5% 오르고 있는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실비보험료가 오르는 이유는 보험회사의 전체적인 손해율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상반기, 실손보험의 손해율은 118.5%였다고 합니다. 보험회사가 받는 보험료가 100원이면 주는 보험금이 118.5원을 지출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3세대와 4세대에서 실비보험 손해율이 149.5%, 131.4%로 훨씬 높았다고 합니다. 보험업계가 매년 1~2조원의 적자에 시달리는 상황이기에 보험료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할인이 되는 것은 비급여 의료비 이용 개인별 차등제에 따른 것으로 한번도 사용하지 않고 0원인 경우에 할인 235원이 되는 것입니다. 저 또한 그렇습니다. 전체적인 손해율은 모든 보험계약자가 다 같이 감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지만 비급여 이용률이 높은 것이 손해율을 높이기 때문에 이번 12월에 나오는 5세대부터는 비급여 혜택을 대폭 줄여서 비중증 비급여의 경우에는 50% 자부담으로 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선희 보험전문가입니다.
모든 실손보험은 연령증가와 회사의 손해율에 따라 갱신시 인상되며 4세대는 직전1년간 비급여 보험금 지급액에 따라 최대 300%까지 할증됩니다.(산정특례자와 장기요양1.2등급은 제외)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4세대 실비는 1년간 보험금 청구 이력에 따라 개인적으로 할증됩니다.
비급여 청구 이력에 따라 달라지는데 100만원 미만은 유지.
100-150만은 100%할증
150-300만은 200%할증
300만 이상은 300% 할증 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우 보험전문가입니다.
네. 안타깝지만 그렇습니다. 4세대 실손보험은 그동안에 출시된 1, 2, 3세대에서 보험사들이 손해율을 조금이라도 내리고자 만든 실손보험이세요. 그래서 갱신이 되서 올라갈 때 꽤 많이 올라갑니다.
물론 4세대로 전환을 하실 때 보험료가 저렴해진다고 설명은 들으셨겠지만 실상은 그렇지가 않습니다.
공제도 기존엔 아마 급여진료는 10%밖에 안되셨을텐데 지금은 20%의 공제가 되니 보장면에서도 조금 손해를 보실꺼구요.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보험전문가입니다.
실비보험이 인상이 되는 것은 보편적인 상황입니다. 보통 이러한 실비의 경우 갱신과 비갱신이 있는데, 상품이 갱신의 상품인 부분이 보험료 상승이 된 요인이라고 보이며, 이는 개인마다 다른 의료의 이용실적 등이 반영된 부분과, 보험사의 전체적인 손해를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보험의 인상폭은 보험사 마다 다르지만 평균적으로는 약 15% 정도의 상승이 있었다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