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와 바이오에피스의 사업구조는 정확히 어떻게 다른가요
삼성바이로직스는 대표적인 제약회사이고 상장회사입니다 그런데 비상장 회사 바이오에피스도 있는데요 그렇다면 바이오에피스와 바이오로직스의 사업구조는 어떻게 다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헷갈리기 쉬운데 둘은 사업 방향이 좀 다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말 그대로 위탁생산 중심입니다. 다른 제약회사들이 개발한 바이오의약품을 대신 만들어주는 생산 전문 회사라고 보면 됩니다. 공장 지어놓고 cmo 사업에 집중하는 구조죠. 반면에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직접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하고 임상도 하고 허가도 받아서 시장에 내놓는 쪽입니다. 연구개발 중심이고 신약은 아니지만 기존 바이오약을 복제해서 상업화하는 전략입니다. 정리하면 바이오로직스는 생산 공장, 바이오에피스는 개발 연구소 쪽에 가깝다고 보면 이해가 좀 쉬울 듯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삼성 바이오로직스와 바이오에피스의 사업구조에 대한 내용입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 시밀러를 생산업체이고
바이오에피스는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하는 회사라는 것에서
큰 차이를 보여줍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CMO 위탁생산 중식으로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을 가진 타사 의약품을 대행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의약품 개발이 아닌 고객사가 개발한 약을 생산만 해줍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바이오시밀러 개발을 전문적으로 하며 R&D 중심의 사업을 합니다.
개발한 바이오시밀러의 판매 수익이 주요 수익원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위탁생산을 주력으로 하는 제조 중심의 기업이고 삼성 바이오에피스는 바이오시밀러를 개발, 판매하는 연구 개발 중심의 자회사입니다.
즉, 하나는 생산, 하나는 개발을 맡으며 각자의 영역에서 분업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무도 삼성그룹의 바이오 사업을 담당하는 회사이지만, 그들의 사업 구조는 명확하게 다릅니다. 쉽게 말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생산과 개발 위탁을 전문으로 하고,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바이오시밀러 개발을 전문으로 합니다. 최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인적분할을 통해 삼성에피스홀딩스를 설립하고, 삼성바이오에피스 지분을 삼성에피스홀딩스로 승계하는 등 사업 구조를 재편하고 있어 그 차이가 더욱 명확해지고 있습니다.
두 회사는 바이오 산업 내에서 서로 다른 전문 영역에 집중하며 시너지를 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를 위탁 생산 시장의 리더로서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바이오시밀러 및 신약 개발을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전략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의약품 CDMO를 전담하며 개발·생산을 전담하는 구조이고,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신약 개발 등 신사업 연구·개발을 전담하는 구조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 바이로로직스는 CDMO 즉 바이오의약품을 위탁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대신 생산을 해주는 CMO형태의 사업이 주 사업이며 이를 대량으로 생산하는형태의 글로벌 기업입니다
즉 고객사의 의약품 생산이 주력형태이며 바이오에피스는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하고 판매하는 회사로서 셀트리온의 사업구조와 유사한 형태로 경쟁사라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