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잘나가자
잘나가자20.02.29

국이나 음식 등이 식으면 더 짜게 느껴지는 이유는 뭘까요?

국이나 음식 등을 따뜻하게 해서 먹을 때보다 식었을때 먹으면

더 짜게 느끼는 이유는 뭘까요?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0.02.29

    음식의 맛은 온도의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뜨거운 음식을 먹을때, 차가운 음식을 먹을 때 사람들은 맛의 차이를 느. 신맛은 온도와 그리 상관 없지만 단맛, 쓴맛, 짠맛 등 맛은 온도에 따라 느껴지는 강도가 다릅니다. 음식이 뜨거울 때는 짠맛을 잘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나도 모르게 소금을 많이 넣게 됩니다. 하지만 그것이 식으면 엄청 짜게 느껴게 됩니다.

    참고로 쓴맛은 높은 온도에서는 맛이 덜 느껴지지만 식으면 강하게 느껴집니다. 음식이 식으면 맛이 없게 느 껴지는 것도 짠맛과 쓴맛이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반면 단맛은 35도에서 가장 강하게 느껴집니다.

    아이스커피에 아무리 시럽을 많이 타고 달지 않게 느껴지는 이유는 낮은 온도에서 쓴맛은 강해지고 단맛이 억제되기 때문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우리의 미각은 음식의 온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특히 짠맛의 경우

    음식이 뜨거우면 혀의 미각이 둔해지고 둔해진 입맛에 맛추다 보니

    음식이 짜지는 겁니다.

    만약 이런 음식을 식었을 때 먹으면

    짜게 느껴지는 본래의 맛을 느낄수가 있는 것이지요.저는 될수 있으면 음식간을 식었을때 하는

    편입니다 . 국같은 경우는 일부러 식혀서 맛을 보고 간을 한답니다.


  • 안녕하세요. 루프링입니다.

    식은 음식이 더 짜게 느껴지는 이유는 미각세포 속 미뢰라는 기관과 관련이 깊어요. 우리 혀에는 약 9천개의 미뢰가 존재하는데 이 미뢰에서는 짠맛, 단맛, 신맛, 쓴맛 4가지 맛을 느낄 수 있다고 해요. 그리고 온도변화에 민감해서 차가운 물보다는 따뜻한 물에서 더욱 쉽게 녹는다고 합니다. 즉, 차가워진 음식물 안에 있던 소금성분이 제대로 녹지 않아 나트륨 함량이 높아지니 자연스레 짜고 자극적이게 느껴지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