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계약을 할 때는 몇 년 단위로 계약을 하는 것인가요
전세나 열쇠 계약할 때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전세나 월세 계약할 때 몇 년 단위 계약을 해야 되는 그런 규정이 따로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월세 계약기간은 원칙은 2년입니다
그런데 임차인이 1년을 원해서 임대인과 협의가 되면 1년도 가능하고 1년을 더살고 싶다고 하면 2년으로 살수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 임대차계약은 2년단위로 합니다. 임대차계약기간의 정함에 있어 법적으로 정해진 기간은 없고 양당사자의 협의에 따라 달라질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기간은 당사자간 합의에 따라 다르게 정할수 있습니다. 임대차보호법상에는 임차인보호를 위한 최소거주기간만을 명시하며, 2년을 최소기간으로 보장하기에 보통 전세계약은 2년으로 많이들 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규정이 있지는 않지만 보통 2년 계약을 하고 주임법도 별도의 기간 협의가 없으면 2년을 기간으로 인정합니다.
임대인과 임차인이 협의시 기간은 조율 가능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 계약의 기간은 일반적으로 2년 단위로 설정됩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르면, 기간을 정하지 않거나 2년 미만으로 정한 임대차는 그 기간을 2년으로 보게 됩니다. 그러나 임차인이 2년 미만의 기간을 주장할 수 있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 임차인과 임대인 간의 합의에 따라 1년 단위로 계약을 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전세 계약이 만료되기 전에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계약 종료 의사를 통지하지 않으면, 계약은 동일한 조건으로 자동 연장될 수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만약 임차인이 계약을 연장하고자 하지 않는다면, 계약 만료 최소 1개월 전에 임대인에게 통지해야 합니다. 이러한 규정들은 임차인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므로, 계약 시 이러한 사항들을 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겟습니다.
전세나 열쇠 계약할 때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전세나 월세 계약할 때 몇 년 단위 계약을 해야 되는 그런 규정이 따로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 주임법에 따르면 주택인 경우 기본적인 임대차계약 기간을 2년으로 상가건물인 경우에는 게약기간을 1년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계약 자유의 원칙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세/월세 임대차계약의 기간을 제한하는 법률은 없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