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22.03.22

강아지와 아이를 함께 키우는경우 아이 정서에 좋을까요?

다른 강아지를 새로 입양 하고싶은데 앞으로 태어날 아이와 함께 키우기에
아이에게 정서적인 영향이 있을까요??

아이 심리상 부정적인 측면이 있을까바 조금 망설여 지는데
강아지를 들여도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물론 정서면에서

    애완견과 함께 성장하는 것이 아이들에게 좋습니다만

    아이들이 애완견을 케어하기가 어렵기때문에

    질문자님께서 그러한 것을 도맡아 하셔야하는 부분을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21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애착 관계를 통한 사회 정서적 발달에 도움됩니다. 반려동물과 애착이 잘 형성된 아이들은 공감 능력과 친사회적 성향이 높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반려동물은 아이에게 위안, 안정감, 신뢰를 줄 수 있으며 학령기 이후의 아이들은 반려동물을 돌보는 역할을 통해 책임감 또한 배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애완견을 집에서 기를 경우 커가는 아이들의 정서상 매우 좋습니다.

    아이에게 위안감, 안정감, 정서적 신뢰를 줄 수 있습니다.

    다만 신생아는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에 애완견을 들이는 건 고려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강아지를 함께 키운다는 것은 막연한 두려움이 있습니다. 그리고 정답은 없아 사실 케이스바이케이스인 것으로 생각합니다..

    부모는 아기의 거울이라는 말이 있듯이 부모가 강아지를 어떻게 대하고 예뻐하는지에 따라 아이도 강아지를 보며 생명의 소중함을 배우고 배려하는 마음을 가지게 될듯 합니다. 반대로 중간에 사정이 생겼다고 버리거나 막대하거나다른곳으로 보낸다면 아이 역시 책임감이라는 것을 배우지 못하고 생명에 대한 경외감도 적어질 겁니다. .... 많은 고민을 하고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강신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강아지와 크는것은 안정감을 찾아줄 수 있기 때문에 아이의 심리와 정서에는 좋습니다.

    하지만 면역력이 떨어지는 갓난아기때부터 키운다면 아이의 건강에 좋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1돌을 지나고 키우시는 것을 권장해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성장기에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은 아이의 정서에 좋은 영향을 주기때문에 보호자 분들이 괜찮으시다면 고려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육아·아동 분야 전문가 김성훈아동심리삼당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이와 반려동물을 함께 키우면 아이의 정서 발달에 커다란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이러한 이상을 당연시 해서는 안 됩니다. 반려동물이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조건 함께 두어서는 안 된다는 말입니다. 또한 아이를 낳아서 처음으로 집에 데리고 오는 날, 가까이 하려는 반려동물을 갑자기 멀리 하고 어느 한 곳에 가둬 두어서도 안 됩니다. 아이를 낳기 전, 반려동물이 분리에 익숙한 상태가 되도록 훈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렇게 할 때, 아이에게도 반려동물에게도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좋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첫 단추가 잘 꿰어질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대부분 아가가 태어나면 강아지나 고양이 동물은 몇 달 까지는 분리해야 됩니다.

    면역력이 극도로 낮은 아이한텐 위험하지요

    털이 날리거나 강아지가 아이를 가볍게 긁는다 해도 아기 피부가 약하니 감염에도 주의를 해야 하구요

    강아지와 함께 하는 건 아이한테도 강아지 한테도 좋지 않으니 아가가 어느 정도 크면 강아지를 데려오기 전에 미리 강아지한테 아가가 사용하던 손수건 등을 갖고 놀게 해서 그 냄새에 익숙해지게 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