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경제 성장기에 대출 금리는 어느 정도였나요?
1980년대 한국의 경제 성장기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를 보면 적금 금리가 굉장히 높더군요. 보통 예적금 금리가 대출 금리보다 낮은 것이 일반적인데 1980년대 경제 성장기에 대출 금리는 어느 정도였나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1980년대 초반에는 20%의 대출 금리가 일반적이었지만, 1982년 이후 정부 정책에 따라 10%~12% 수준으로 인하되었습니다. 당시 예금금리도 또한 대략 10% 대 수준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시기에 따라서 다르지만
1980년대 초반에는 연 20%가 넘는 수준의
대출금리도 있었으며
더불어서 시간이 갈수록 금리가 떨어졌어도
연 10% 이상의 대출금리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980년대 한국의 대출 금리는 20%를 초과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1980년대 한국의 경제 성장기에는 인플레이션이 매우 높았고, 정부는 이를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높게 유지했습니다.
당시 예금 금리는 15 - 20% 정도였으며 대출 금리는 이보다 더 높았습니다.
당시에는 기업들도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대출을 많이 이용했기 때문에 대출 금리가 높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
1980년대 한국의 대출 금리는 대체로 10% 이상이었으며, 일부 시기에는 25% 이상까지도 올라간 적도 있습니다. 이는 높은 인플레이션과 경제 성장에 따른 결과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70년대 20프로대 기준금리에 12,15프로를 넘나들다가 80년대부터 초반 18.9프로찍고 바로 하강하게 되었습니다 10프로였기 때문에 금융권별로 10프로 초중반을 기록했죠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1980년 급격한 금리 상승기에는 일반 예금금리가
20~30%로 매우 높았습니다.
이러한 예금을 가지고 대출을 해주어 수익을 내야했기에 대출금리는 25~35%정도 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1980년 대에는 한국 경제의 고도 성장기 였기 때문에 금리가 굉장히 높았던 시기 입니다.
1980년 대 초반에는 20% 이상의 고금리가 적용되기도 했습니다. 기업 대출의 경우에는 10% 이상의 높은 금리가 적용되었습니다.
1980년 대 중후반에는 점점 금리가 안정되었고, 정부에서는 금리를 인하하는 정책을 추친 하게 되었습니다.
1980 년대에는 높은 인플레이션과 경제 개발이라는 두 가지 요인으로 금리로 굉장히 높았습니다. 하지만 점점 금리 인하 정책과 함께 점점 안정 되어 가던 시기 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1980년대 한국의 대출 금리는 상당히 높았으며 특히 1980년에는 대출 금리가 약 18%에 달했습니다. 이는 당시 높은 경제 성장률과 물가 상승률, 금융 시장의 규제 완화와 맞물린 결과였습니다. 1980년대 중반까지도 대출 금리는 10% 이상을 유지하며 높은 수준이었으며 이러한 금리 환경은 예금 금리와 대출 금리 모두에 반영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