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행복하게살아요
행복하게살아요

우리나라도 U턴 기업의 사례가 있을까요?

우리나라 기업들은 저렴한 임금과 물류를 위하여 해외로 진출한 기업이 많은데요.

최근 해외의 경우 기업들이 해외 진출에 대한 장점은 없어지고 오히려 자국이 내수 경기 부양을 위해 해외에서 돌아오는 기업에게 각종 혜택을 주기 때문에 이른바 U턴 기업이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이와같은 U턴 기업 사례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근 해외로 진출한 기업들이 높은 생산 비용과 공급망 불안정, 국내 자국 시장의 성장 등의 목적으로 생산 공장 등을 국내로 복귀를 선택하는 이른바 U턴 기업의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례 기업으로는 효성, 현대모비스, 아모레퍼시픽, 제이에스티나 등이 해외 공장을 철수하거나 짓지않고 우리나라에 공장을 짓거나 복귀하여 생산을 하고 있는 사례입니다.

    이러한 사례의 기업들은 우리나라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우리나라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사례 중에 하나입니다. 정부는 계속해서 이러한 기업들이 많아질 수 있도록 지원을 해야하고 성공적인 정착이 된다면 우리나라 산업 경쟁력의 지속적인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 입니다.

    22년 국내복귀를 확인한 기업은 약 24개사로 중견 및 대기업의 비중이 증가하였으며, 공급망과 관련된 기업이 주를 이루는 등 국내복귀 기업의 질적 수준이 높아진 것으로 확인됩니다. 주요 산업으로는 전기전자 ,자동차, 화학 등 자본 투자가 많이 필요한 산업들이 있으며, 주로 중국에서 진출한 기업이 15개사로 가장 많고, 베트남이 4개 그다음 미국 일본 대만 멕스코 인도네시아가 각 1개로 확인되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및 모바일용 인쇄회로기판(PCB) 업체 ㅅ사, 반도체용 화학제품 제조기업 ㄷ사 등 관련 법령에 따라 첨단업종, 공급망 핵심기업으로 확인 받은 기업도 있습니다.

    국내복귀의 주요 요인으로는 해외투자 환경 악화, 국내 내수시장의 확대를 꼽은 것으로 나타나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경훈 전문가 입니다.

    삼성전자의 경우에는 베트남 협력사 스마트폰 생산라인을 일부 경북 구미공장으로 옮겼으며, H 기업의 경우에도 베트남에서 일부 국내로 시설 일부를 옮긴것으로 확인됩니다. 또한 포스코의 경우에도 베트남에서 현지공장을 철수한 것으로 보여지며, 노바인터내쇼널의 경우에도 현지 복귀를 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이러한 리쇼어링의 경우는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도 있으며, 메이드인코리아의 브랜드가치상승 등과 통상분쟁의 영향을 받지 않는 우리나라로 생산기지를 옮기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또한 해외진출기업의 국내복귀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원대상에 선정되는 경우 혜택을 부여하여 이러한 국내복귀기업이 많은 것으로 확인됩니다.

    감사합니다.

  • 유턴기업은 중국 등 인건비가 저렴한 해외국가로 생산시설을 이전했다가 자국으로 복귀하는 기업을 하는데 ‘다시 돌아온다’는 의미에서 유턴(U-turn)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 생산시설을 새로 만들거나 해외 사업장을 철수하고 국내로 사업장을이전 하는 경우로 우리나라의 경우 ‘해외 진출 기업의 국내복귀 지원에 관한 법률(유턴기업 지원법)’에 따라 유턴기업을 정의하고있습니다.

    우사한 예로 버락 오바마 대통령 재임 시절부터 ‘리쇼어링’ 정책을 편 미국 정부는 반도체법과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통해 유턴 기업에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유턴 기업은 2014년 340개에서 2021년 1844개로 늘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유턴 기업은 2014년부터 총 160곳이지만 이 중에서도 16곳은 돌아오고 나서 폐업했고, 7곳은 아예 유턴을 포기해 버려 남은 유턴 기업은 137곳에 그친다고 합니다. . 그마저도 실제로 들어와 공장을 가동하는 기업은 54곳에 불과하고, 절반이 넘는 83곳이 아직 조업을 준비하고 있을 뿐이여서 실제적인 유턴 기업에 대한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해당 건의 경우 보통 중국 진출 기업들이 중국당국의 규제 및 판매 부진 등으로 인하여 국내로 회귀한 케이스가 많습니다.

    자세한 사례는 아래를 참고부탁드리며, 이러한 기업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점 참고부탁드립니다.

    https://www.hani.co.kr/arti/economy/global/1074508.html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