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들이 가축화될때 가설인 쓰레기더미가설이 무엇인가요
아주 오래전에 늑대일부중에서 개로 가축화된것으로 보이는데요
그렇다면 이런 가설중에 하나라고 불리우는 쓰레기더미가설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쓰레기더미 가설은 개가 가축화된 과정을 설명하는 가설 중 하나로, 초기 개의 조상인 늑대가 인간의 정착지 주변에서 발생한 쓰레기 더미에서 음식을 구하며 인간과 가까워졌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가설에 따르면, 인간이 남긴 음식 찌꺼기나 쓰레기를 먹기 위해 인간의 거주지로 접근한 늑대들 중 인간에게 덜 공격적이고 온순한 개체들이 생존에 유리해졌고, 이러한 개체들이 점차 인간과 공생하며 가축화되었다는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인간은 이들 온순한 늑대들을 받아들이고, 그들과의 관계를 발전시켜 개로서 길들였다는 설명입니다.
쓰레기 더미 가설은 개가 인간에 의해 의도적으로 길들여진 것이 아니라, 스스로 인간의 생활 주변에 적응하며 가축화되었다는 가설입니다.
늑대의 조상이 사냥 능력이 떨어지거나, 먹이 경쟁에서 밀려 인간의 생활터전 주변으로 몰려와 인간이 버린 음식물 쓰레기를 먹으며 생존했고, 이 과정에서 인간과의 접촉이 잦아졌습니다. 그리고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점차 인간에게 순한 성격으로 변화하고, 인간 또한 이러한 늑대를 해치지 않고 공존하며 오랜 시간 동안 인간과 함께 살면서 늑대의 유전자가 변화하여 개라는 새로운 종으로 진했다는 것이죠.
이러한 쓰레기 더미 가설이 제기되는 이유는 늑대가 잡식성 동물이며, 먹이를 찾아 인간의 생활터전 근처를 자주 배회할 뿐만 아니라 초기 인류 유적지에서 늑대의 뼈가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늑대가 인간과 함께 살았다는 것을 뜻하고, 개와 늑대의 유전자를 비교 분석한 결과, 개의 유전자에 인간이 섭취하는 음식물에 적응하는 데 유리한 변화가 많이 발견되었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이런 쓰레기 더미 가설은 개의 가축화 과정을 설명하는 여러 가설 중 하나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쓰레기더미 가설은 개의 가축화가 인간의 쓰레기 더미에서 시작되었다는 주장인데요
초기 인간이 버린 음식물에서 자연스럽게 생존한 느대들이 점차 인간과 가까워지면서 가축화되는 주장이죠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스웨덴과 미국 공동 연구진은 과거에 늑대가 초기 인류 농부들이 남긴 음식물을 먹고 개로 진화했다는 연구 결과가 '쓰레기더미' 가설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