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냉철한불독44
냉철한불독4423.05.01

콜라주 기법이 정확하게 무엇인가요?

그림을 보면 찢어진것 같은 그림인데 그런 작품을 콜라주 기법으로 만든 것이라고 하던데요. 콜라주 기법이란 게 정확하게 어떤 것인지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01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본래 ‘풀칠’ ‘바르기’ 따위의 의미였으나, 전용되어 화면에 인쇄물, 천, 쇠붙이, 나무조각, 모래, 나뭇잎 등 여러 가지를 붙여서 구성하는 회화 기법, 또는 그러한 기법에 의해 제작되는 회화를 가리킨다. 1911년경 입체주의 시대의 피카소Pablo Picasso(1881~1973)와 브라크Georges Braque(1892~1963)는 화면 효과를 높이고, 구체감을 강조하기 위하여, 화면에 그림물감으로 그리는 대신 신문지, 우표, 벽지, 상표 등의 실물을 붙여 화면을 구성하는 방식의 파피에 콜레라는 기법을 창안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 후 다다에 이르러서는 파피에 콜레가 확대되어 실꾸러미, 모발, 철사, 모래 등 캔버스와는 이질적인 재료, 또는 신문, 잡지의 사진이나 기사를 오려 붙여서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부조리한 충동이나 아이러니컬한 연쇄 반응을 노리는 기법으로 쓰이게 되었다. 즉 피카소나 브라크의 파피에 콜레는 순전히 화면의 미적 구성을 위한 조형상의 한 수단이었지만, 다다의 콜라주에서는 붙여지는 물체로 관심이 이행되었던 것이다. 이로부터 사회풍자적인 포토몽타주가 생겨났다.

    또 에른스트Max Ernst(1891~1976)는 옛 이야기나 과학 서적의 삽화를 오려붙이는 수법으로 기상천외한 <백 개의 머리를 가진 여인>이라는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초현실주의적인 콜라주를 확립했다. 초현실주의의 콜라주는 기성품에 손질을 가하지 않고, 전혀 엉뚱한 물체끼리 조합함으로써 별개의 새로운 현실을 만들어 비유적, 연상적, 상징적인 효과를 노렸다. 한편 1960년대의 팝 아트도 테크놀로지나 매스미디어에서 대중의 시각 속에 있는 조형적 요소를 몽타주하여 작품 속에 짜맞추는 방식으로 콜라주의 수법을 이용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콜라주 [collage] (세계미술용어사전, 1999., 월간미술)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콜라주는 별개의 조각들을 붙여 모아 새로운 이미지를 만드는 미술 기법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본래 뜻은 풀로 붙인다 입니다.

    평면회화에 그리기작업외에 붙이는 모든 작업이 이에 해당됩니다.

    잡지의 여러가지 이미지를 오려 조합해서 붙인 작업도 크게 보면 콜라주에 해당되며(포토 몽타주라고 합니다.)

    보통은 질감이 다른 재질의 재료를 붙이는 걸 의미하지요..

    그래서

    학교에서 하는 콜라주작업에서는

    선재.. 끈종류,

    면재.. 천, 질감이 다른 종이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