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심각한뿔영양39
심각한뿔영양39

지용성 물질이 체내 흡수에 유리한 이유?

세포막이 인지질 이중층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체내흡수에는 지용성 물질이 유리하다고 하는데

인지질이중층의 겉부분은 다 친수성 부분인데 왜 지용성 물질이 체내흡수에 유리한지 모르겠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인지질 이중층의 겉부분이 친수성인데도 지용성 물질이 체내흡수에 유리한 이유는 대부분의 지용성 물질이 세포막을 통과하기 좋기 때문입니다. 지용성 물질은 세포막 내의 지질 이중층과 상호작용하기 쉽고,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쉽게 세포막을 통과하여 세포 내로 흡수될 수 있습니다.

    세포막은 지질성분인 인지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지용성 물질이 더 쉽게 통과할 수 있습니다. 지용성 물질은 세포막의 지질층과 상호작용하여 통과하는데, 이러한 상호작용은 지용성 물질이 세포 내로 쉽게 흡수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친수성 물질은 세포막 내의 지질성분과 상호작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통과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친수성 물질은 주로 세포막 내의 단백질 채널을 통해 흡수되는 경로를 택하게 되며, 이는 지용성 물질에 비해 흡수 속도가 느릴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지용성 물질이 체내 흡수에 용이한 이유는 인지질이중층막의 특성에 있습니다. 인지질은 친수성의 인산기와 소수성을 띠는 긴 탄화수소 꼬리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인산기에 비해서 소수성을 띠는 부위가 더 길기 때문에 지용성 물질의 체내 흡수가 유리한 것입니다. 반면에 친수성 물질은 주로 세포막 내제단백질인 통로나 운반체 단백질을 통해서만 이동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인지질의 구조상 소수성인 지질부분이 친수성부분보다 많이 깁니다.

    그래서 세포막의 겉은 친수성 부분이 배치되어 있더라도 대부분의 두께는 소수성인 지질부분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지용성 물질이 이 세포막을 통과하는 것이 더 쉽습니다.

  • 세포막은 인지질 이중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구조의 겉부분은 친수성, 내부는 소수성입니다. 지용성 물질이 체내 흡수에 유리한 이유는 세포막의 소수성 내부를 쉽게 통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비록 인지질 이중층의 겉부분이 친수성이지만, 세포막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소수성 내부를 지나야 합니다. 지용성 물질은 소수성 내부와 상호작용하여 쉽게 확산될 수 있어 세포막을 더 쉽게 통과하고 체내로 흡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용성 물질이 세포막을 통해 체내로 흡수되기에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