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식문화에 대한 내용이 궁금해요
대한민국의 식문화가 글로벌 다른국가와의 차이가 어떤게 날까요? 그리고 케이푸드가 왜이렇게 뜨는지 케이푸드의 영양도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신은혜 영양사입니다.
한류가 뜨는 것은 아무래도 K-Pop이 전세계적으로 유명하기 때문에 그 영향이 큰 것 같고 그러므로 자연스럽게 한식에 대해 관심이 생겨서 한식을 접 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또한 한 식은 발효식품이 발달되어있고 조리법도 다양하며 영양적으로도 우수하고 맛있는 음식들이 많습니다
또한 즉석식품과 배달 음식이 발달 하면서 한식을 많이 접하므로 인기가 많아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예은 영양전문가입니다.
한국의 식문화는 밥과 반찬 중심으로, 발효 음식인 김치, 된장, 고추장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글로벌 식문화와 비교할 때 양념과 매운 맛이 특징적이며, 균형 잡힌 식단을 중요시 여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케이푸드가 뜨는 이유는 맛뿐만 아니라 건강에 좋은 발효 음식과 영양가 높은 재료들이 주를 이루기 때문이며 특히 저칼로리, 고단백 식품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질문하신 내용 잘 확인했습니다.
한국의 식문화가 밥, 국, 반찬을 기본으로 다양한 메뉴를 구성해서 메뉴마다 조금씩 식사하는것이 특징입니다. 그래서 한 끼에 다양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답니다.
글로벌 식문화와 비교하면 서양은 한 접시에 주식, 단백질, 채소를 한꺼번에 담는 경우가 많은데 한국은 각각 음식이 조화를 이루는 상차림 문화도 중시해요.
세계적으로 뜨는 이유가, 트렌디한 한식 응용 분식 메뉴들, 매운맛, 발효식품, 한식 고유의 건강 이미지와 KPOP, DRAMA같은 한류 콘텐츠와 맞물리니 경험하고 싶은 문화로 각인해서 그렇습니다.
영양학적으로도 김치, 된장, 나물류는 발효와 식이섬유, 항산화 성분도 많아 장 건강에도 좋고, 고추장, 마늘같은 재료는 대사촉진 효과도 있어서 여러모로 균형 잡힌 식단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참조가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