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빨간조롱이144
빨간조롱이144

술마시고 피검사 신장 수치 상승 할 수 있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30

술 마시고 다음날 피검사 하면 신장수치가 많이 올라가나요 작년 7월에는 cr수치 0.78 e-gfr 수치 117.68 나왔습니다. 전날 술 엄청 마시고 검사 했는데 크레아타닌 수치가 1.19가 나왔습니다.. 전날 과음 후 0.4나 올라갈수 있을까요.. 술마시고 검사했을때 신장 수치가 많이 변할까요!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록희한의사입니다

    건강검진 전날 술을 많이 마셨다면 수치에 당연히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금주하시고 1달정도 있다가 재검 받아보세요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적어주신 결과 값으로 미루어 임상적으로 크게 의미 있는 수치 상승은 아닙니다.

    짠 음식과 과다한 단백질 섭취를 피하시고 평소 물을 자주 마시고 금주를 권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혈액검사 전날 과음하셨고, 검사결과 혈중 크레아티닌(Cr) 수치가 전보다 높아져서 고민스러우시지요. 술을 마신 후 피검사를 하면 신장 수치라 불리는 크레아티닌 수치가 일시적으로 상승할 수 있습니다. 가장 큰 요인은 탈수입니다. 과음은 체내 탈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탈수가 발생하면 혈액 농도가 증가하여 크레아티닌 수치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또 알코올은 간에서 대사되며, 이 과정에서 생성된 대사산물들이 신장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알코올은 신장의 여과 기능을 일시적으로 감소시켜 크레아티닌 수치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해당 검사 결과에 대해 걱정이 크시다면 1-2주의 회복기간을 가진 뒤 재검해보실 수 있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과량의 알코올 섭취는 신장에 부담을 주어 크레아티닌 수치를 일시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음주 후 크레아티닌이 0.4 mg/dL 가량 상승한 것은 일시적인 변화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알코올은 탈수를 유발하고 신장 혈류량을 감소시켜 신장 기능 지표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알코올 대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독성 물질이 신장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음주 후 신장 기능 검사 수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났다면,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알코올 섭취를 자제하면서 1~2주 후 재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평소 과음 습관이 있다면 주의가 필요합니다.

    만성적인 음주는 신장 손상을 유발하여 신장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강한 신장 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평소 과도한 음주를 피하고 규칙적인 건강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치 변화가 지속되거나 신장 관련 증상이 나타난다면 신장 내과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 작성된 댓글은 참조만 하시고, 담당의 등과 대면 상담을 추천드립니다

    음주로 인한 변화 보다는, 음주 후 탈수 / 무리 등으로 인한 일시적인 변화일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 걱정이 되신다면, 일정기간 후 재검사를 추천드립니다

  • 과음을 하고 탈수가 심하지 않은이상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사료됩니다면 피검사전에 알콜을 섭취하는 것은 권장되지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과음을 하게 되는 경우 전반적인 간기능이나 신장기능에 있어서 변화가 나타나기 때문에 크레아티닌 수치가 일시적으로 올라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검사 전날에는 음주를 피하시고 추후 재검을 받으시는 것이 좋겠으며, 혈액검사 결과에 따라 비정상 수치가 지속되는 경우 원인 확인을 위해서 근처 신장내과에서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크레아티닌은 우리 몸의 신장 기능을 대표할 수 있는 수치입니다.

    알코올 또한 우리몸에서 대사하면서 전신적인 악영향을 끼칠수 있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상승할 수 있으나,

    작년 검사 결과와 금번 결과를 마치 연속적인 데이터로 평가하긴 어렵습니다.

    주기적인 신장기능검사 추적과 과음은 하지 않을 것을 권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