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생각도 해보지 않고 질문부터 하는 아이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초등학교 3학년 아이가 아무런 생각없이 되는대로 질문부터 합니다.

예를 들면 태권도랑 유도랑 싸우면 누가 이겨?

세상에서 누가 키가 제일 커?

이런 식의 질문들인데, 어떤 것들이든 되는대로 마구 질문을 해댑니다.

어떤식으로 지도하는게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임경희 보육교사
      임경희 보육교사
      규호측량토목설계사무소

      안녕하세요. 임경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아이가 순간에 궁금한것을 바로 이야기하는가보내요.

      아이가 질문을 하면 되물어 보세요.

      나름대로 생각하는것이 있을듯하네요.

      만약 아이가 진짜 궁금한것을 수첩에 적어보고 부모님과 함께 자료를 찾아보며 이야기 하면 좋을듯해요.

      무조건 질문이 아니고 스스로 근본적인 자료를 찾아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면 조금이라도 도움될꺼 같아요.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질문의 갯수를 하루에 제한하거나 그래서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스스로 고민하고

      생각을 충분히 한 후에 결론이 나지 않을 경우에만

      질문을 하도록 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질문을 많이 하는 것은 그만큼 호기심과 창의력이 높아서 그럴 수 있는데,

      글의 내용대로 3학년 정도의 아이 수준에서 나올법한 질문은 아니기 때문에,

      그렇다고, 화를 내거나 다그치기 보다는 역으로 바꿔서 질문을 해보기 바랍니다

      그래, 그렇다면, 너의 생각은? 이렇게 바꿔서 질문을 해보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질문이 너무 많은 이유로 대충 대답하거나 회피하면 학습에 대한 동기가 줄어들수 있어요. 아이에게 그 질문을 다시 되질문 하면서 아이가 생각하고 대답할 시간을 주는게 창의적, 확산적 사고력을 길러주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 아이의 호기심을 존중하고 더 나은 질문과 논리적 사고를 키울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부모님이 본보기를 보여주시고 명확한 예시를 제시해주고 대화와 토론을 하며 자기해결법을 찾아보세요. 아이들은 지속적인 지도와 격려를 통해 생각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고, 깊은 호기심을 가지며 질문을 더 잘 구성하게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지금 아이는 호기심과 궁금증이 많은 아이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뭘 그딴 것을 묻니 라는 것보다는 우리 00가 궁금한 것이 많나 보구나 라고 하시면서 아이의 궁금증을 풀어지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가 엉뚱한 질문을 한다면 우리 00의 생각주머니는 기발하구나, 하지만 엄마.아빠는 우리 00의 질문을 답해줄 수가 없단다 그 이유는 엄마.아빠도 그렇지만 다른 사람도 우리 00가 궁금한 내용을 풀어줄 수 없기 때문 이란다 라고 부드럽게 말을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초등학교 3학년경 아이들은 궁금한 것들이 많아서 질문을 두서없이 하기도 합니다.

      아이의 궁금증 해소를 위해 질문에 최대한 답을 잘해 주시면 좋을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이러한질문은답이어려움을 알려주세요.

      아이에게 이러한것을설명해주고 알려주시면줄어들겁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대화를 통해 책이나 인터넷 등으로 먼저 확인해 본 후

      질문을 하게끔 지도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시기 아이들은 궁금한 것이

      많은 시기입니다. 아이들은 가장 편하고 쉬운 사람인 부모에게 질문을 던지게 마련입니다.

      아이의 입장을 이해하시되 부모 또한 다른 일정 등이 있어 모든 질문에 대답해줄수 없음을

      인식시켜 줄 필요가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질문을 할 때에는 무작정 답을 해주시려고 하시기 보다는

      아이가 스스로 생각해볼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아이가 그러한 질문을 했다면 00이는 어떻게 생각하니?

      그렇게 생각한 이유는 무엇일까? 하고 진지하게 대화를 이끌어 주세요. 그리고 점점 깊숙하게 들어가 태권도의 유래 유도의 유래 등 아이가 스스로 찾아볼 수 있는 경험을 만들어주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호기심이 많은듯합니다

      이럴땐 아이에게 어떻게 생각하는지 먼저 물어보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어느 정도의 호기심은 발달적으로도 정상적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이들의 호기심은 궁금한 것이 많아지는 지적 호기심으로 옮아가기 때문에 하루에도 수 없이 왜? 라는 질문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부모가 아이의 질문에 반응을 보이지 않으면, 아이는 부모와의 대화를 점 점 더 거부하게 될 수 있으니, 아이의 물음에 귀를 기울여 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