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상 동물과 비교 했을 때 조류의 배설물이 묽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육상 동물과 조류는 배설 방식과 모양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데요 이렇게 육상 동물에 비해 조류의 배설물이 묽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조류의 배설물이 육상 동물과 비교했을 때 묽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새의 경우 오줌을 배설하는 기관이 없어 오줌에 해당되는 질소계 배설물(요산)도 같이 배설하기 때문입니다. 이때 새에게는 방광이 없는데요, 이는 물통을 몸 안에 싣고 다니면 비행하는 데 에너지가 더 소모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새들의 콩팥은 단백질 대사 과정의 부산물인 질소폐기물을 제거하는 수단으로 요소 대신 요산을 선택했으며, 인간 콩팥이 만드는 요소보다 질소 원자의 수가 두 배 많은 요산을 택함으로써 새들은 오줌을 농축하는 데 드는 물의 양을 절반으로 줄였습니다. 새들은 방광 대신 총배설강(cloaca)으로 오줌을 내보내는데요, 이러한 총배설강은 어류나 포유류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소화기관입니다. 새들은 총배설강의 물을 역류시켜 소화기관에서 이를 재흡수하며 수용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요산을 침전시켜 똥과 함께 몸 밖으로 방출하게 됩니다.
1명 평가조류의 배설물이 묽은 이유는 조류가 물을 효율적으로 보존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조류는 신장에서 요산 형태로 노폐물을 걸러낸 후, 물과 함께 직장으로 배출합니다. 이 과정에서 액체 성분을 최대한 보존하려 하기 때문에, 배설물에 포함된 수분이 많아 상대적으로 묽게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조류들은 먼저 비뇨기와 소화기를 결합한구조를 갖고있습니다.
즉, 소변을 처리하는 기관과 대변을 처리하는기관이 같다는 것입니다.
또한 질소화합물인 요소와 다른 대사산물이 물에 잘 녹기때문에
이를 같이 배출하기위해 수분을 일부러 포함시켜 배출하게됩니다.
인간처럼 신장에서 요소들을 모아 소변으로 버릴 수 없어서 선택한 방법입니다.
감사합니다.조류의 배설물이 육상 동물에 비해 묽은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크게 배설물의과 소화기관의 차이 때문입니다.
조류는 요산 형태로 질소 노폐물을 배설합니다. 요산은 물에 잘 녹지 않는 고체 형태이기 때문에 소량의 물로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조류가 비행을 위해 가벼운 몸을 유지해야 하고, 물을 자주 섭취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살아가는 데 유리하기 때문이죠. 반면, 육상 포유류는 주로 요소 형태로 질소 노폐물을 배설합니다. 요소는 물에 잘 녹는 액체 형태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합니다.
또한 조류는 소화 기관이 짧고 효율적입니다. 음식물을 빠르게 소화하고 흡수해야 하기 때문에 체내에 오래 머물게 하지 않고 배설합니다. 하지만 육상 포유류는 소화 기관이 길고 복잡합니다.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소화하기 위해 물을 이용하여 영양분을 추출하고, 찌꺼기를 배출하는 과정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립니다.
따라서 조류의 배설물이 묽어 보이는 것은 요산 배설과 효율적인 소화 기관이라는 두 가지 특징이 결합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