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유전자 변형 작물(GMO)이 농업에 주는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유전자 변형 작물을 흔히 GMO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흔히 주변에서 많이 보고 듣는 GMO 작물이 갖는 즉 농업에 주는 장점과 단점이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GMO는 해충 저항성이나 병 저항성, 수확량증대등으로 농업생산성과 안정성을 높여줍니다.

    반면에 생태계교란이나 저항생해충이나 잡초의 출현, 종자의전성과같은 단점이 있습니다.

  • 결론적으로 GMO는 식량 생산을 늘리는 데에는 장점을 가질 수 있지만, 환경과 건강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이 가장 큰 단점입니다.

    즉, 가뭄이나 병충해에 강해 더 많은 수확량을 얻을 수 있고, 해충에 대한 저항성을 갖도록 만들어 살충제 사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타민 등 특정 영양소를 강화해 영양실조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변형된 유전자가 자연 생태계로 퍼져나가 생물 다양성을 해칠 수 있고, 소수 기업이 종자를 독점해 농민들이 매년 비싼 값에 종자를 사는 경우가 많아 식량 가격이 오를 수 있으며, 무엇보다 장기적으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없다는 점이 가장 큰 단점이죠.

  • 질문해주신 유전자 변형 작물(GMO)은 특정 유전자를 삽입하거나 제거하여 원하는 형질을 갖도록 만든 작물을 말합니다. 장점으로는 '병충해 및 잡초 저항성 강화'가 있는데요, 해충에 저항하는 Bt 옥수수처럼 자체적으로 살충 단백질을 생산하는 작물은 농약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제초제 저항성 콩이나 옥수수는 잡초 제거가 용이해 노동력과 비용 절감이 가능합니다. 두번째로는 '수확량 증가와 안정적 생산'이 있습니다. 가뭄, 염분, 고온이나 저온 등 환경 스트레스에 강한 형질을 도입하면 기후 변화에도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하며 이는 식량 안보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세번째로는 '품질 및 영양 강화'가 가능한데요, 비타민 A가 강화된 황금쌀처럼 특정 영양소를 보강하여 영양결핍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저장성이 개선된 GMO 작물은 유통 기한을 늘려 식품 폐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반면에 단점으로는 '생태계 교란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GMO 작물의 유전자가 주변의 야생종과 교배되어 슈퍼잡초 같은 새로운 문제를 만들 수 있는데요, 특정 해충만을 겨냥한 GMO는 시간이 지나면서 내성을 가진 해충의 출현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체 안전성 논란'이 있습니다.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GMO 식품이 인체에 해롭다는 확실한 증거는 부족하지만, 장기적 영향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하는데요 따라서 아직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나 새로운 독성 물질 생성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장점>

    가장 큰 장점으로는 농업 생산성 향상입니다. 병충해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종자의 개발 등으로 극한 기후에서 살 수 있어서 전체 생산량이 증가합니다. 또한 특정 영양성분의 강화된 농산물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단점>

    생태계 교란으로 Ecosystem이 파괴될 수 있습니다. 또한, 곤충, 해충 들에게 내성이 생긴 GMO로 인해서 빠르게 번시깅 가능합니다. 인체에 어떠한 부작용이 있을지 모른다는 염려와 걱정이 있습니다. 산업에서 "독점"에 사용할 수 있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아직까지도 다방면에서 GMO의 사용에 대한 검토는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GMO는 병해충, 잡초 저항, 수확량 증대, 농약 사용 감소, 영양 강화 등 농업 생산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답니다.

    반면 유전다양성 감소, 내성 해충, 환경 영양, 알레르기, 유리 표시제 논란 같은 단점과 사회적 논쟁이 따를수 잇답니다.

  • 유전자 변형 작물은 해충과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을 갖춰 농약 사용을 줄이고 생산량을 늘려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으며, 특정 영양소를 강화하거나 척박한 환경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제초제 내성을 지닌 슈퍼 잡초의 출현이나 주변 생태계 교란 등 환경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고, 인체에 미칠 장기적인 영향에 대한 안전성 논란이 있으며, 다국적 기업의 종자 독점으로 인한 농가의 종속 심화와 유전적 다양성 감소 등의 단점이 지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