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소아청소년과

정말까탈스러운미루나무
정말까탈스러운미루나무

16개월 아이가 멍한 표정을 자주 보이는 이유와 대처법이 궁금합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48

16개월 된 아이가 최근 들어 텔레비전이나 주변 상황을 멍한 표정으로 오래 바라보는 경우가 잦아졌어요.

주변에서 보이는 발달 단계와 비교했을 때 지연될 수 있는 신호일까요?

또한, 눈동자의 움직임이나 반응 속도에 어떤 변화가 나타날 때 전문가 상담이 필요한지 구체적으로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16개월 된 아이가 멍한 표정을 자주 보이는 것에 대해 걱정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아이가 텔레비전이나 주변 상황을 멍한 표정으로 오랫동안 바라본다고 하셨는데, 이런 행동은 종종 이 시기의 아이들에게서 관찰되기도 합니다. 아이들은 세상을 탐색하며 새로운 자극들을 받아들일 때 이러한 반응을 보일 수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우선 너무 염려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아이의 발달이 일반적인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의심된다면, 몇 가지 사항을 고려해보세요. 우선, 아이가 주변 환경이나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이 줄어들지는 않았는지, 눈을 맞추거나 미소를 짓는 등의 사회적 반응이 감소하지 않았는지 지켜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이 이전보다 둔해졌거나 소리나 움직임에 대한 반응이 느려질 경우도 한 번 더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눈동자의 움직임과 반응 속도는 발달 상태를 가늠하는 데 중요한 요소인데요, 눈동자가 정상적으로 움직이지 않거나, 한쪽으로 치우친다거나, 초점을 잘 맞추지 못한다면 이를 지켜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변화가 지속되거나 빈번하게 나타난다면 병원을 찾아가 더 자세한 평가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아이가 감정 표현에 둔감하거나 명확한 발음 없이 옹알이만 계속하는 경우에도 전문의와 상담을 진행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무쪼록 아이가 건강하게 자라기를 바라며,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