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슬기로롭지만, 무던한 1981
슬기로롭지만, 무던한 198123.12.11

같은 겨울 날씨 온도에도 바람이 부는 날과 안 부는 날에 기온차가 나는 이유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많이 쌀쌀해졌는데요 같은 온도에서도 바람이 불면 왜 더 춥게 느껴지는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똑같은 영상 5도에서도 바람이 부는 날과 불지 않는 날을 느껴보면 체감하는 온도는 차이가 많이 나는 것 같은데 왜 그런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11

    안녕하세요. 해리포터입니다.


    바람이 부는 날과 안 부는 날의 체감 온도 차이는 "바람이식 효과" 때문입니다. 바람이 불면 주변 공기를 신속하게 대체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열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1. **대류 열 손실:** 바람이 불면 신선한 공기와 기존의 공기가 계속해서 교환되기 때문에 대류 열 손실이 발생합니다. 즉, 몸 주변의 따뜻한 공기가 계속해서 대체되어 온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2. **수증기 이동:** 바람은 수증기를 몸 주위에서 떼어냅니다. 땀이 증발함으로써 열을 손실하는데, 바람이 빨아가면서 땀이 더 빠르게 증발하게 되어 체감 온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동일한 온도에서도 바람이 부는 날은 대체로 더 춥게 느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를 "체감 온도"라고 부르며, 바람의 강도와 온도 조건이 체감 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안녕하세요. 의로운뻐꾸기46입니다.

    겨울날씨는 바람으로 인해 체감온도라는걸 적용하기 때문에 실제 온도와 차이난다고 느껴지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신랄한메추라기10입니다.겨울철 기온이 급강화해도 햇볕이 있는곳은 따틋하게느껴지고 똑같은 상황이지만 바람이불면 체감온도가 덜어져 추워지죠


  • 안녕하세요. 재밌는불독226입니다.

    바람이 부는 날에는 대류에 의해 지표면에서 공기가 상승하면서 상층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동한 공기가 하강하는 지역에서는 열이 다시 지표면으로 전달됩니다.

    이렇게 대류에 의해 열이 이동하면, 바람이 부는 날에는 지표면과 상층 간의 열 전달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지표면에서는 열이 상승하고, 상층에서는 열이 감소하게 되어 기온차가 느껴집니다.


  • 안녕하세요. 깔끔한크낙새278입니다.

    같은 온도라도 체감온도 즉 피부에서 느끼는 온도는 매우 차이가 많이 납니다. 결국은 더 덥고, 더 춥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