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강력한여새275
강력한여새275

요즘도널드트럼프 미국대통령이 취임 한달만에 동맹국 때리기에 나섰는데요. 이런것을 보구 먼로주의에 부활이라 하던데요. 어떤현상인가요?

요즘도널드트럼프 미국대통령이 취임 한달만에 동맹국 때리기에 나섰는데요. 이런것을 보구 먼로주의에 부활이라 하던데요. 먼로주의는 어떤현상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먼로주의(Monroe Doctrine)는 1823년 제임스 먼로 미국 대통령이 선언한 외교 정책으로, 유럽 열강의 아메리카 대륙 개입을 배제하고, 미국이 서반구의 문제에 대한 주도권을 갖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 유럽과 상호 불간섭을 추구하며, 아메리카 대륙에서의 유럽 세력 확장을 경계하는 정책이었습니다. 그리고 현재 트럼프의 모습도 미국이 자국의 이익을 최우선시하고, 동맹국들에게 더 큰 책임과 부담을 요구하는 경향을 보이는 현상이기에 이러한 측면에서 먼로주의의 부활이라고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

    그러나 전통적인 먼로주의는 유럽의 아메리카 대륙 개입을 막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현대의 미국 외교 정책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트럼프 행정부의 동맹국에 대한 압박을 '먼로주의의 부활'로 직접 연결짓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먼로주의는 먼로독트린이라고도 하는데 제5대 미국 대통령 제임스 먼로가 주장한 것으로 미국이 유럽에 간섭하지 않을테니 유럽 열강들도 미국에 간섭하거나 새로 식민지를 만들려고 하지 말라는 선언을 말한다고 합니다.

    이 선언으로 윌슨 대통령의 민족자결주의 그리고 이 민족자결주의는 3·1 운동의 모티브가 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먼로주의는 제임스 먼로의 외교정책으로 유럽 열강의 미주 대륙 간섭을 배격하고 미국의 독립적 외교를 천명한 선언인데, 이는 결과적으로 미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명분으로 활용되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먼로주의는 19세기 초 미국이 유럽 국가들의 아메리카 대륙 개입을 경계하며 내세운 외교 정책으로, 기본적으로 미국 중심의 고립주의적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 현대에 와서는 자국 이익을 우선시하고 동맹국에도 강경한 태도를 보이는 외교 기조를 의미하는 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최근 미국이 동맹국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는 모습을 먼로주의의 부활로 해석하는 것은 미국이 국제 관계에서 자국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다는 점에서 나온 표현으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