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싹싹한낙지45
싹싹한낙지45

파견직 퇴직금 지연지급 어떻게 대처해야할까요?

A라는 아웃소싱 업체와 계약하여 B회사에 파견되어 근로하고있습니다. 2년 계약을 곧 채워 1월 중순 계약만료로 퇴사를 할 예정입니다.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에 퇴직금을 지급하여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계약기간이 1월말이 아닌 월 중이라 퇴직금 지급 시기가 애매하여 질문 드립니다.

A 회사에 문의한 결과 제가 파견되어 일하는 B 회사에서 1월 말에 근태를 계산하여 A 회사로 자료와 급여를 지급해야 저에게 급여가 나오는 시스템이라고 합니다. 이런 이유로 퇴직금 지급 시점은 14일 이후가 아닌 익월 월급날이 될 것이라고 이해하라 합니다.

  1. 퇴사를 앞두고 저도 이런저런 계획들을 세우고 있었는데 근로 계약서 기재 및 사전 고지 없이 이렇게 퇴직금 지급 시기를 미루어도 되는건가요?

  2. 노동법상 14일 이내에 지급하라고 되어있는데 제가 14일이 지난 후에 노동부에 진정을 넣으면 금방 받을 수 있나요?

  3. 혹여 진정을 넣었는데 지급하지 않는다면 A업체는 어떤 패널티를 받게 되나요?(이런 상황까지 가고 싶진 않지만 패널티가 있어야 제 때 지급할 것 같아서요)

전문가 분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1. 퇴직일부터 14일 이내에 지급되어야 합니다. 지급기일을 연장하려면 근로자와 합의해야 합니다.

    2. 진정을 제기할 경우 언제 받을 수 있을지는 예측할 수 없습니다.

    3. 기간 내에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에 대해 벌금형 등 형사처벌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훈 노무사입니다.

    1. 근로자 동의 없이 지급기한을 미룰수는 없습니다.

    2. 신고한다 하더라도 조사과정만 1~2개월 정도 걸릴 것이어서 바로 받는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3. 진정을 제기하였음에도 계속하여 지급하지 않는다면 임금체불로 처벌될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퇴직금은 퇴사 후 14일 이내에 지급을 해야 합니다. 다만 노동부 진정을 넣더라도 금방 받을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처벌을 원한다고 하면 처벌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

    1. 퇴사를 앞두고 저도 이런저런 계획들을 세우고 있었는데 근로 계약서 기재 및 사전 고지 없이 이렇게 퇴직금 지급 시기를 미루어도 되는건가요?

      >>당사자간에 합의 없이 일방적으로 금품청산 기한이 지나도록 임금, 퇴직금 등을 지급하지 않는다면 법 위반에 해당합니다.

    2. 노동법상 14일 이내에 지급하라고 되어있는데 제가 14일이 지난 후에 노동부에 진정을 넣으면 금방 받을 수 있나요?

      >>상황에 따라 다르나, 통상적으로 사업주가 곧 바로 지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3. 혹여 진정을 넣었는데 지급하지 않는다면 A업체는 어떤 패널티를 받게 되나요?(이런 상황까지 가고 싶진 않지만 패널티가 있어야 제 때 지급할 것 같아서요)

      >>근로기준법상 금품청산 기일이 지났음에도 퇴직금 등을 지급하지 않았다면 관할 노동지청에 진정 등을 제기할 수 있으며, 담당 근로감독관의 지급 지시에도 이를 지급하지 않는다면 법 위반 사실에 대한 조사 후 검찰 송치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벌금이 부과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정원 노무사입니다.

    우선 퇴직금은 알고 계신대로 퇴사 시 14일 이내에 지급을 하여야 합니다

    이에 회사 사정으로 일방적으로 14일 이내 지급하지 않는 것은 근로기준법상 금품청산 규정 위반입니다

    근로기준법 제36조(금품 청산)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 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일 이내에 임금, 보상금, 그 밖의 모든 금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경우에는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의하여 기일을 연장할 수 있다

    이에 노동부 진정을 제기할 수 있으나, 처리 속도는 감독관에 따라 다르며 회사가 빠르게 지급할 것까지 담보하기는 어렵습니다

    또한 이를 위반한 사업주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