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충분히미소짓는삼계탕
충분히미소짓는삼계탕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아이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요?

또래 관계에서 아이가 자주 소외감을 느끼며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합니다. 사회성을 키우고 자신감을 높이기 위해 부모와 교사가 어떤 지원을 해줄 수 있을까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또래의 관계에서 소외감을 느끼는 아이를 보시면, 마음이 많이 쓰일 것 같아요.

    부모님과 교사는 작은 모임부터 천천히 경험하도록 하고, 놀이 속에서 순서 지키기, 말 걸기와 같은 사회적 기술을 연습하도록 도와주는 게 좋아요. 아이의 시도를 칭찬하고 격려하면 자신감이 생기고, 점차 친구들과 편안하게 어울릴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아이의 속도에 맞춰서 안정감과 지지를 꾸준히 보여주는 게 큰 힘이 돼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또래와 잘 어울리지 못하는 이유는 아이의 기질적인 부분의 원인이 커서 입니다.

    부모님은 먼저 아이의 기질을 먼저 잘 파악을 하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

    아이가 또래와 상호작용을 잘 하지 못하는 것은 대개 아이의 기질이 소심하고. 소극적이고. 내성적이고, 내향적이고.

    낯가림이 심한 부분의 경향이 높아서 입니다.

    가정에서 아이의 사회성을 키우는데 도움이 되는 것은 역할극 입니다.

    아이와 함께 역할극을 하면서 각 상황에 적절한 행동,제스처. 언어 그리고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고,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기관에서는 아이와 영역 및 다양한 활동을 통한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해 아이의 사회성을 키워주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 아이가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해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아이들마다 성향이 달라서 그럴 수도 있습니다.

    아이들이 또래 관계에서 잘 어울리지 못하고 소외감을 느끼는 것은 흔히 나타나는 어려움 중 하나입니다. 사회성이 아직 발달 중인 시기라서 낯을 가리거나 자신감 부족으로 인해 친구들과 자연스럽게 어울리지 못할 수 있습니다. 부모와 교사는 먼저 아이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지지와 격려를 아끼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억지로 친구들과 어울리게 하기보다는 작은 그룹 활동이나 협동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관계를 경험하게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아이가 잘하는 활동을 찾아 성취감을 느끼게 하면 자신감이 높아지고 또래와의 관계에서도 적극성이 생깁니다. 교사는 교실에서 협력적 과제를 통해 아이가 참여할 기회를 늘려주고, 부모는 집에서 대화와 역할 놀이를 통해 사회적 기술을 연습시킬 수 있습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아이가 “나는 친구들과 함께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경험을 쌓도록 환경을 마련해 주는 것이며, 시간이 지나면서 사회성은 점차 성장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사회성을 키우려면 작은 성공 경험을 만들고, 관계 기술을 연습할 기회를 주는 것이 핵심입니다. 아이가 참여하기 쉬운 활동에 자연스럽게 연결해 주고, 잘한 순간을 바로 칭찬해 주면 자신감이 생깁니다. 그리고 넌 기다려주는 게 참 좋아 처럼 구체적으로 인정해 주세요

  • 안녕하세요. 보육교사입니다.

    작슨 그룹 활동부터 시작해 성공 경험을 쌓으면 자신감이 자연히 올라가요

    역할 놀이 협동 게임으로 사회적 기술을 연습하게 하면 또래 관계가 부드러워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