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 법칙이란거도 있는건가요?
파킨슨씨병이라는건 들어보았는데 파킨슨 법칙이란거도 있나요 어디에 적용되는 법칙인가요 어떤 사회적이나 심리적 현상같은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파킨슨법칙은
관료조직의 인력, 예산, 하위조직 등이 업무량과 무관하게 점차 비대해지는 현상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실생활에서 확인할 수 있는 파킨슨의 법칙은 다음의 사례와 같습니다.
1사례 1
강의계획서에는 학기 종료일 오전 9시까지 기말보고서를 제출하도록 명시되어 있다. 그런데 학기 내내 구상만 하다가 학기 종료일 전 마지막 3일에 걸쳐 기말보고서를 쓰고, 종료일 당일 오전 7시에 간신히 이메일로 제출한다.
2사례 2
올해에도 정기 건강검진은 여느 해와 마찬가지로 9월 1일로 예정되어 있으며, 과거 건강검진에서 고지혈증을 지적받아 왔다. 8월 중순까지는 건강관리에 신경 쓸 겨를이 없다. 그러다 8월의 마지막 열흘 동안 무리한 다이어트와 과격한 운동을 시도한다.
사례 3
다음 주 월요일 오전 10시에 임원 보고가 예정되어 있다. 주중에는 특별히 일이 많은 것도 아닌데, 본격적인 보고서 작성이 손에 잡히지 않는다. 토요일에는 친구들과 등산을 하고, 일요일에 텅 빈 사무실에 나와 보고서를 완성한다.
[네이버 지식백과]파킨슨의 법칙 [Parkinson’s law] (상식으로 보는 세상의 법칙 : 경제편, 이한영)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이 법칙은 '일에 소요되는 시간은
남은 시간과 비례한다.'는 겁니다.
어떤 일을 하는데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릴 지 재보는 것은 그다지 의미가 없다는 거죠.
같은 일이라도 한 시간밖에 없으면 한 시간에 끝마치고, 두 시간이 있으면 그 일을 하는 데 두 시간이 걸리니까요.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파킨슨 법칙은 ‘일에 소요되는 시간은 남은 시간과 비례한다’는 것입니다.
내가 어떤일을 끝마치려 하는데, 남은 시간이 열시간이라면 열시간을 소요해서 그 일을 해내고, 만약 남은 시간이 3시간이라면 3시간에 그 일을 해낸다는 것입니다.
그러고 보면 시간이 없어 못하는것 아니라, 시간이 많아 안하는 것일 수 있겠네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어떤 일이든 주어진 시간이 소진될 때까지 늘어진다는 표현으로 대표되는 경험적 법칙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관료조직의 인력, 예산, 하위조직 등이 업무량과 무관하게 점차 비대해지는 현상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파킨슨의 법칙이란 공무원의 수는 일의 양과 관계없이 증가한다는 생태학적 법칙이라고 합니다 영국의 경제학자 시릴 노스코트 파킨슨이 1955년에 주창하였으며 조직내 관료주의의 확산에 적용이 되고 있습니다 미하일 고르바초프도 파킨슨의 법칙은 어느 곳에서나 작동한다고 응답하였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파킨슨 법칙이란 영국의 역사학자 파킨슨이 제창한 사회생태학적 법칙으로'사람은 상위 직급으로 올라 가기 위해 부하 직원의 수를 늘릴 필요가 있으므로 조 직 구성원의 수는 업무량의 유무나 경중에 관계없이 일정한 비율로 증가한다'라는 현상을 수학적 법칙으 로 정리한 것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