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세 스프레드 전략을 시행하기 위한 방법이 무엇인가요?
옵션을 조합할 때 약세 스프레드 전략을 활용하는 경우가 언제이고 어떤 옵션을 매입하거나 매도하여 구성하는지 그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신이 사려는 주식 종목의 약세가 예상되면 행사 가격이 높은 옵션을 매수하는 동시에 행사 가격이 낮은 옵션을 매도하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옵션 거래에서 '약세 스프레드' 전략은 시장이 떨어질 것 같지만, 그 하락 폭이 크게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될 때 유용한 기법입니다.
이전략을 활용하면 손실 가능성을 일정 수준으로 묶으면서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이익에도 한계가 생긴다.라는 점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약세 스프레드는 크게 '풋 약세 스프레드'와 '콜 약세 스프레드'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으며, 각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풋 약세 스프레드
풋 약세 스프레드는 시장이 하락할 것 같지만 그 폭이 제한적일때,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하락에 배팅하고 싶을때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낮은 행사가격에 콜옵션을 매도하는 것은 주가 상승을 제한하는 전략이며, 높은 행사가격의 콜옵션을 매입하는 것은 무제한적인 손실을 피하기 위한 안정 장치로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 주가가 100달러라고 할 때, 105달러 행사가격 매도하고(프리미엄 : 3달러), 110달러 행사가격에 콜옵션을 매입(프리미엄 : 1달러)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럴 경우 순프리미엄은 3달러 - 1달러 = 2달러이며, 이것이 최대 이익입니다.
한편, 최대 손실은 110달러 - 105달러 - 2달러 = 3달러로 한정됩니다.
약세 스프레드의 핵심포인트는 하방 베팅에서 무제한적 손실을 피하고, 정해진 범위 내로 위험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매도 옵션에서 얻은 프리미엄으로 매입 옵션 비용을 일부 상쇄하여 초기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큰 폭의 하락이 아니라 어느 정도만 하락할 것으로 본다면, 이 전략으로 리스크와 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약세 스프레드는 하락을 예상하지만 제한적인 낙폭을 상정하는 투자 상황에서 매력적인 전략입니다.
행사가격 간격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리스크-수익 구조를 조정할 수 있으니, 자신의 시장전망과 투자 성향에 맞게 구성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1) 약세 스프레드 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 기초자산의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될 때 활용
콜 스프레드 매도(낮은 행사가의 콜 옵션을 매도, 높은 행사가의 콜 옵션을 매수) or 풋 스프레드 매수(높은 행사가의 풋 옵션을 매수, 낮은 행사가의 풋 옵션을 매도)
2) 구성
기초자산을 먼저 선택합니다. --> 주식, 지수, 상품 등 하락이 예상되는 자산을 선택
그리고 약세 추세 파악합니다. --> 더 낮은 고점과 저점 등 하락 추세의 지표를 확인
적절한 행사가를 선택합니다.
--> 콜 스프레드의 경우(매도하는 콜옵션의 행사가가 매수하는 콜옵션보다 낮아야 함)
--> 풋 스프레드의 경우(매수하는 풋옵션의 행사가가 매도하는 풋옵션보다 높아야 함)
옵션 거래를 실행합니다. --> 선택한 전략에 따라 옵션을 매수하고 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