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초록산
초록산

약세 스프레드 전략을 시행하기 위한 방법이 무엇인가요?

옵션을 조합할 때 약세 스프레드 전략을 활용하는 경우가 언제이고 어떤 옵션을 매입하거나 매도하여 구성하는지 그 방법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신이 사려는 주식 종목의 약세가 예상되면 행사 가격이 높은 옵션을 매수하는 동시에 행사 가격이 낮은 옵션을 매도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옵션 거래에서 '약세 스프레드' 전략은 시장이 떨어질 것 같지만, 그 하락 폭이 크게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될 때 유용한 기법입니다.

    이전략을 활용하면 손실 가능성을 일정 수준으로 묶으면서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이익에도 한계가 생긴다.라는 점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약세 스프레드는 크게 '풋 약세 스프레드'와 '콜 약세 스프레드'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으며, 각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풋 약세 스프레드

    풋 약세 스프레드는 시장이 하락할 것 같지만 그 폭이 제한적일때,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하락에 배팅하고 싶을때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낮은 행사가격에 콜옵션을 매도하는 것은 주가 상승을 제한하는 전략이며, 높은 행사가격의 콜옵션을 매입하는 것은 무제한적인 손실을 피하기 위한 안정 장치로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 주가가 100달러라고 할 때, 105달러 행사가격 매도하고(프리미엄 : 3달러), 110달러 행사가격에 콜옵션을 매입(프리미엄 : 1달러)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럴 경우 순프리미엄은 3달러 - 1달러 = 2달러이며, 이것이 최대 이익입니다.

    한편, 최대 손실은 110달러 - 105달러 - 2달러 = 3달러로 한정됩니다.

    약세 스프레드의 핵심포인트는 하방 베팅에서 무제한적 손실을 피하고, 정해진 범위 내로 위험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매도 옵션에서 얻은 프리미엄으로 매입 옵션 비용을 일부 상쇄하여 초기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큰 폭의 하락이 아니라 어느 정도만 하락할 것으로 본다면, 이 전략으로 리스크와 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약세 스프레드는 하락을 예상하지만 제한적인 낙폭을 상정하는 투자 상황에서 매력적인 전략입니다.

    행사가격 간격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리스크-수익 구조를 조정할 수 있으니, 자신의 시장전망과 투자 성향에 맞게 구성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1) 약세 스프레드 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 기초자산의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될 때 활용

    콜 스프레드 매도(낮은 행사가의 콜 옵션을 매도, 높은 행사가의 콜 옵션을 매수) or 풋 스프레드 매수(높은 행사가의 풋 옵션을 매수, 낮은 행사가의 풋 옵션을 매도)

    2) 구성

    • 기초자산을 먼저 선택합니다. --> 주식, 지수, 상품 등 하락이 예상되는 자산을 선택

    • 그리고 약세 추세 파악합니다. --> 더 낮은 고점과 저점 등 하락 추세의 지표를 확인

    • 적절한 행사가를 선택합니다.

    --> 콜 스프레드의 경우(매도하는 콜옵션의 행사가가 매수하는 콜옵션보다 낮아야 함)

    --> 풋 스프레드의 경우(매수하는 풋옵션의 행사가가 매도하는 풋옵션보다 높아야 함)

    • 옵션 거래를 실행합니다. --> 선택한 전략에 따라 옵션을 매수하고 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