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형 당뇨 에이즈 고혈압 미래에 완치가 될까요?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습니다! 현재 2형당뇨 에이즈 고혈압 등 완치 개념보다는 관리 개념으로 알고 있는데요 혹시 10에서20년 안으로는 완치 가능성이 있을까요? 만약 코로나때 처럼 에이즈나 당뇨 고혈압 등으로 전세계가 비상이 되면 완치가 되는 약이 나올까요? 현재 나라에서는 무엇을 해줘야 그나마 더욱 좋은 약들이 나올까요? 나라에서 돈을 많이 지원 해주면 가능성이 높아 지나요?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2형 당뇨병, 에이즈(HIV 감염), 고혈압은 모두 현재로서는 "완치"보다는 "장기적 관리"를 중심으로 치료되고 있는 만성 질환들인데요 다만 과학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미래에는 완치 가능성이 완전히 없는 것은 아닙니다. 현재로서는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 감소가 복합된 질병으로, 식이요법·운동·약물로 조절이 가능한데요, 일부는 체중 감량이나 위장 우회 수술로 정상 혈당 상태로 회복되기도 하지만, 완전한 '치료'로 보긴 어렵습니다. 최근에는 베타세포 재생 유도 약물, 유전자 조절 기술, 장내 미생물 치료, 인슐린 생산 세포 이식 등이 연구되고 있는데요, 줄기세포 기반 치료나 CRISPR 유전자 편집 기술이 상용화되면, 일부 환자에게는 근본적 치료도 가능할 전망이 있긴 하지만 대중적 완치는 여전히 난제입니다. HIV 감염은 완치되지 않지만,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ART)로 거의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는 상태(U=U)까지 조절 가능하며, 전염 위험도 거의 없어지는데요, 2020년대에 들어 일부 환자가 조혈모세포 이식 등으로 HIV 완치에 성공한 사례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CRISPR 기반 HIV 바이러스 제거 실험도 진행 중이며, 기억 T세포에서 HIV를 제거하는 방법, 바이러스 잠복기 유전자 깨우기 전략(“shock and kill”)도 연구되고 있으며, 따라서, 에이즈는 10~20년 내에 완치에 가까운 치료법이 등장할 가능성이 실질적으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1명 평가2형 당뇨, 에이즈, 고혈압은 현재 완치보다는 관리에 중점을 두는 질환으로, 10~20년 내 완치될 가능성은 질병마다 다릅니다. 2형 당뇨는 인공 췌장, 유전자 치료 등 완치를 향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나 실제 적용까지는 장기적인 시간이 필요하며, 에이즈 역시 소수의 완치 사례가 보고되었지만 보편적인 치료법 개발은 아직 미래의 과제입니다. 고혈압은 완치보다는 약물과 생활 습관을 통한 지속적인 관리가 핵심이며, 완치 개념의 신약 개발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낮게 평가됩니다. 코로나19 사태처럼 전 세계적인 위기 상황이 발생하면 연구 개발 자원이 집중되고 규제 승인 절차가 빨라져 신약 개발이 가속화될 수는 있습니다. 또한, 신약 개발은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정부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연구개발비 지원은 새로운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높이는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합니다.
1명 평가현재 2형 당뇨병이나 에이즈, 고혈압은 만성 질환으로 관리되지만, 미래에는 완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2형 당뇨는 생활 습관 개선으로 완치엑에 가까운 관해에 도달하기도 하지만, 향후 줄기세포 치료나 새로운 유전자 편집기술 등을 활용한 신약 개발을 통해 완치에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또한 에이즈는 현재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제로 어느정도 조절 가능하지만, 줄기세포 이식이나 유전자 편집 기술을 통한 완치 사례가 보고되고 있어 향후 완치 가능이라는 희망을 주고 있습니다.
고혈압 역시 생활 습관 개선이 중요하고, 특정 원인 고혈압의 경우 표적 열 치료와 같은 새로운 방법으로 완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안상우 전문가입니다.
당뇨나 에이즈 그리고 고혈압은 현재에도 약물을 복용해서 기대 수명을 늘릴 수 있는 질환입니다.
완치 하기 위해서는 체질이나 면역체계 등이 바뀌어야 하는데 이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개발된 약물로 관리를 하면서 사는 것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