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지대만의 특징이 있는데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고산지대는 저 산소층이고 추위가 강해진다는데요 평지보다 더 높아서 저 산소층이 되는 원리와 에베레스트 산같이 내내 추운곳의 원리도 궁금합니다!
높이 올라갈수록 중력의 영향력이 줄어들어 공기의 양도 함께 줄어듭니다.
하여 지면보다 공기가 적어 압력도 내려갑니다.
높이 올라갈수록 추운이유는 대류권내에서만 존재하는 현상으로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열이 지면에서 흡수하고 반사되는 열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대류권내에서는 높이 올라갈수록 춥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산지대의 산소가 적은 이유는 공기자체가 적기 때문입니다. 공기가 적어지면 기압도 감소하게 됩니다. 올라갈 수록 지구 중력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공기자체가 감소하기 때문에, 기압이 낮아지기 때문에, 산소의 양도 적어지게 됩니다. 갑자기 고산지대를 방문하면 고산병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것도 산소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고산지대의 기온이 낮은 이유는 태양 에너지를 받아 뜨거워진 지면과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높이 올라갈 수록 기온은 점점 더 내려가며, 이러한 저온현상은 낮보다 밤에 더 심하게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100미터 상승하면 기온은 약 0.4-0.7도시 내려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적도의 열대지방에서도 만년설이 존재할 정도로 추운 고산지대가 존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산지대는 산소가 적습니다. 왜냐하면 지구의 중력으로 인해 공기가 지면에 가장 많이 분포하며 하늘에 가까워질수록 희박히기 때문이죠.
대류권이 대기의 가장 아래 위치하며 지열을 가장 많이 받는 구간입니다. 대류권에 대기는 지면에 비해 태양열을 많이 못 품고 있기 때문에 지열의 영향력이 강해 지면이 뜨겁고 올라갈수록 지열을 받는 양이 줄어들어 추워집니다. 그래서 산에 오르면 태양과 가까워져 따뜻할거 같지만 앞선 이유와 같기 때문에 추워지죠.
지구 중심부에서 거리가 멀수록 중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합니다.
사람이 중력이 느낄 저도는 아니지만 공기라면 충분히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산지대의 높이가 높을수록 산소가 부족하게 됩니다.
또한 대류권(11km 이하)의 특징은 중 하나가
높이 올라갈수록 지표면에서 나오는 지표 복사에너지가 도달하기 힘들기 때문에 온도가 감소하는 것 입니다.
따라서 고산지대는 춥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