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얗게 변해버린 김치는 버려야하나요?
어머니께서 작년에 김장해주시고 보내주신 김치를 시간이 없어 먹지 않았는데 하얗게 올라와 김치색이 변하였습니다.
거의 먹지 않아 양이 정말 많은데요..
다 버리기엔 아깝고 먹지 않는 부분에 대해 많이 후회스럽네요.
김치가 하얗게 변한 부분은 버리는게 맞을까요?
안녕하세요. 행복한하마입니다.
저도 고향에서 오는 김치의 경우에 항상 보관을 잘못하여 흰 곰팡이균이 생기는데요.
흰 곰팡이가 생기는 부분은 김치통에 문제가 있거나 냉장고 온도가 맞질 않으면 생긴다고 해요.
저같은 경우는 흰 곰팡이균만 걷어내어서 국물만 따로 버리고 김치를 잘게 썰어서 김치 볶음을 해먹거나
김치찌개용으로 사용합니다.
저도 보통 고향에서 많은 양의 김치를 보내주셔서 버리기 아까웠는데, 찜 요리나 구워먹으면 괜찮답니다.
안녕하세요. BookerDec입니다.
만일 김치에 하얗게 핀 곰팡이가 생긴 경우에는 걷어내고 먹어도 무방하다고 합니다.
특별히 건강에 문제가 생기거나 그렇지 않다고해요.
저의 경우는 흰 곰팡이만 걷어내고 들기름으로 김치를 볶아서 먹거나 김치찜으로 해먹습니다.
드시는데 아무 걱정없으니 염려마시고 드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거북이놔두루미입니다.
세계 김치연구소의 발표에 따르면, 이 하얀 물질의 이름은 곰팡이가 아닌 '골마지'입니다. 김치의 효모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로, 독성이 없다고 밝혀졌습니다.
안녕하세요. 수리뮤입니다.
김치가 하얀게 변한 것은 곰팡이는 아니고 골마지 입니다.
골마지는 발효식품에 주로 나타나는데 독성은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김치를 물에 씻은 후 묵은지 김치찌게 등에 활용 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그윽한물범37입니다.
위에 피어있는게 기존에는 곰팡이로 취급되었으나 최근 연구된 자료에 의하면 효묘균이 만든 골마지라고 합니다. 드셔도 무방합니다
안녕하세요,
만약 김치를 만졌을 때 너무 무르다 싶으면 버리셔야 합니다.
하얗게만 되었을 경우에는 씻어서 드실 수 있습니다만,
하얗게 된 곰팡이가 핀 것이라면 안에까지 포자가 있기 때문에 드시기를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기운찬살모사190입니다. 김치색이 하얀색으로 변하였다는 것은 곰팡이가 있다는 증거이므로 그것이 몸속에 들어가면 건강을 해칠 수가 있으니 얼른 버리시는 것이 좋고 앞으로는 김장을 하시더라도 먹을 만큼의 양만 하시는것이 좋겠습니다. 그럼 이만 글 줄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직박구리입니다.
김치를 사랑하는 민족답게 그부분도 사용은 합니다.
다만 본인 선택이지요
그냥은 먹기 어렵고요.
하얗게 변한부분은 따로 물에담궈서 1시간정도
두고
그뒤 씻어서 볶아먹을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없어서 못드셨다는데 이 방법은 어렵겠지요ㅜㅜ
아쉽지만 변한부분은 버리시구요.
김치가 국물에 잠기도록 보관을 해주세요.
김치냉장고면 그나마 보관이 용이하지만 일반 냉장고라면 빨리먹는게 답입니다ㅜㅜ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입니다.
하얀부분은 발효된 것이기 때문에 먹어도 무방합니다
씻어내고 요리를 해서 드셔도 무방하기때문에ㅜ버리지 마세요
안녕하세요. 까녕이입니다.
세계 김치연구소의 발표에 따르면, 이 하얀 물질의 이름은 곰팡이가 아닌 '골마지'입니다. 김치의 효모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로 독성이 없다고 하네요
김치의 발효에 더 큰 역활을 하는 것이 효모보다는 유산균인데요 발효 후기가 되면 활동이 줄어든 유산균 대신 효모에 의한 골마지가 생긴다고 합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인체에 해롭지는 않다고 하니 씻어두었다가 찌개나 반찬으로 활용해도 괜찮을 거같습니다.